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팔애시[八哀詩] ~ 팔영시[八詠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309  
♞팔애시[八哀詩] 당(唐) 나라 두보(杜甫)가 지은 왕사례(王思禮), 이광필(李光弼), 엄무(嚴武), 이진(李璡), 이옹(李邕), 소원명(蘇源明), 정건(鄭虔), 장구령(張九齡) 8명을 애도한 시이다. <杜工部草堂詩箋>
♞팔애장구[八哀章句]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挽詩)를 말한다. 당(唐) 나라의 현신(賢臣) 8인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두보(杜甫)의 ‘팔애시(八哀詩)’에서 연유한 것이다.
♞팔애편[八哀篇] 두보(杜甫)의 ‘팔애시(八哀詩)’를 말하는데, 당(唐) 나라의 현신(賢臣)인 왕사례(王思禮)·이광필(李光弼)·엄무(嚴武)·왕진(王璡)·이옹(李邕)·소원명(蘇元明)·정건(鄭虔)·장구령(張九齡) 등 8인의 죽음을 슬퍼하여 노래한 시이다.
♞팔애해[八哀解] 팔애시(八哀詩)를 해석함. 팔애시는 두보(杜甫)가 왕사례(王思禮)·이광필(李光弼)·엄무(嚴武)·여양왕진(汝陽王璡)·이옹(李邕)·소원명(蘇源明)·정건(鄭虔)·장구령(張九齡) 등 여덟 사람을 애도한 것이다.
♞팔영루[八詠樓] 남조(南朝) 제(齊)의 문인 심약(沈約)이 동양태수(東陽太守)로 가서 원창루(元暢樓)를 짓고 팔영시(八詠詩)를 읊었는데, 뒤에 그 누대 이름을 팔영루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
♞팔영시[八詠詩] 고려의 시인 김극기(金克己)가 강릉에서 노닐며 시로 담은 8개의 승경(勝景)으로, 녹균루(綠筠樓)·한송정(寒松亭)·경포대(鏡浦臺)·굴산종(崛山鍾)·문수당(文殊堂)·견조도(堅造島)를 말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44 江陵大都護府 題詠>
♞팔영시[八詠詩] 양(梁) 나라 심약(沈約)이 동양 태수(東陽太守)가 되어 팔영시(八詠詩)를 지어 현창루(玄暢樓)에 썼는데, 후인(後人)이 그 누(樓)를 팔영루(八詠樓)라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101 장안세[張安世] ~ 장안십일니[長安十日泥] ~ 장안추우니막막[長安秋雨泥漠漠] 6301
100 주하사[柱下史] ~ 주하수[柱下叟] ~ 주해추[朱亥椎] 6306
99 팔애시[八哀詩] ~ 팔영시[八詠詩] 6310
98 금성옥진[金聲玉振] ~ 금성척처[金聲擲處] ~ 금성탕지[金城湯池] 6313
97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6328
96 봉상위녀섬[縫裳魏女攕] ~ 봉생마중불부직[蓬生麻中不扶直] ~ 봉선서[封禪書] 6330
95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6331
94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6333
93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6340
92 장초[萇楚] ~ 장추[長楸] ~ 장추곡[將雛曲] 6340
91 진선[晉宣] ~ 진성운조차어린[陣成雲鳥次魚鱗] ~ 진소왕[秦昭王] 6349
90 장유[長孺] ~ 장유강엄만천해[長孺剛嚴曼倩諧] ~ 장유박회양[長孺薄淮陽] 6358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