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서호[西湖] ~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26  
♞서호[西湖] 중국 절강(浙江) 항주(杭州)에 있는 호수 이름인데, 송(宋) 나라의 임포(林逋)가 학을 기르고 매화를 가꾸며 은거한 채 살던 곳이다.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등도 모두 이 곳에서 연회를 베풀고 절경(絶景)을 감상했었다.
♞서호농말여서시[西湖濃抹如西施] 소동파의 시에, “만일 서호(西湖)를 가지고 서자(西子)에 비한다면, 얕은 화장과 짙은 화장이 모두 마땅하다.”하였다, 이것은 서호의 경치가 개인 날에도 좋고 비오는 날에도 좋다는 뜻이다.
♞서호처사[西湖處士] 송(宋) 나라 때의 은사인 임포(林逋)를 이른다. 그는 서호의 고산(孤山)에 집을 짓고 살면서, 장가도 들지 않고 자식도 없이 혼자서 매화를 심고 학(鶴)을 길렀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그를 매처학자(梅妻鶴子)라고까지 하였다. 서화(書畫)와 시를 잘하여 그가 읊은 산원소매시(山園小梅詩)의 “성긴 그림자는 맑고 얕은 물에 비끼어 있고 은은한 향기는 황혼 달 아래 부동하누나[疏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한 것을 세상에서 절창(絶唱)으로 일컬었다.
♞서호칠월주[西湖七月舟] 참고로 소동파(蘇東坡)는 6월의 서호가 좋다고 하여 “畢竟西湖六月中 風光不與四時同”이라는 구절을 남겼다. <蘇東坡詩集 卷50 西湖絶句>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서호(西湖)는 중국 항주부(杭州府) 서쪽에 있는 둘레가 30 리쯤 되는 호수로 주위 산천이 수려하고 모든 물색도 화려하여 당(唐) 나라 이후로 손꼽히는 명승지인데, 거기에는 평호추월(平湖秋月)․소제춘효(蘇堤春曉) 등 십경(十景)이 있다고 한다. <明一統志>
 
 



번호 제     목 조회
149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무산운우[巫山雲雨] 6102
148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6103
147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6111
146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6114
145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6115
144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6117
143 장재[長齋] ~ 장재명[張載銘] ~ 장적[張籍] 6118
142 장씨지족[張氏知足] ~ 장안미[長安米] ~ 장안살불오[莊雁還宜殺不嗚] 6120
141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6120
140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6122
139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6127
138 주사[柱史] ~ 주사소단조[柱史燒丹竈] ~ 주사직[朱絲直] 613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