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하사[河沙] ~ 하삭음[河朔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33  
♞하사[河沙] 항하(恒河), 즉 인도 갠지스 강의 모래알. 헤일 수 없이 많다는 뜻으로 쓴다.
♞하사표[賀赦表] 왕명으로 죄수를 놓아줄 때 하례를 올리는 글이다.
♞하삭[河朔] 하북(河北). 황하(黃河)이북 지방.
♞하삭면[河朔面] 하삭(河朔)은 옛날 황하(黃河) 이북 지방을 가리키는 말로 보통 북방을 뜻한다. 소식(蘇軾)의 시에 “君爲江南英 面作河朔偉”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28, 諸公餞子敦 軾以病不能往 復次前韻>
♞하삭백[河朔百] 후한 때 유송(劉松)이 하삭에서 피서(避暑)하면서 주야로 술을 마셨던 고사가 있다.
♞하삭원음[河朔袁飮] 여름철에 함께 피서를 하며 술을 마시고 시를 읊던 추억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 유송(劉松)과 원소(袁紹)의 자제가 황하(黃河) 북쪽 지방[河朔]에서 만나 삼복 더위를 피하려고 밤낮으로 곤드레만드레 술에 취해 보냈던 고사가 있다. <初學記 卷3 註>
♞하삭음[河朔飮] 무더운 여름철에 피서(避暑)한다는 명분으로 마련한 술자리를 말한다. 하삭은 하북(河北) 지방을 가리키는데, 후한(後漢) 말에 광록대부(光祿大夫) 유송(劉松)이 하북(河北)의 군(軍)을 진무하면서 원소(袁紹)의 자제들과 날마다 연음(宴飮)을 하고, 특히 삼복(三伏) 때에는 주야로 통음(痛飮)을 하여 일시적인 더위를 피했던 데서 온 말이다. <初學記 歲時部上 夏避暑飮>
 
 



번호 제     목 조회
5105 충하[充虛] ~ 췌췌[惴惴] 5523
5104 범옹[范翁] ~ 범왕궁[梵王宮] 5520
5103 견간[筧竿] ~ 견구인[牽狗人] 5520
5102 곤붕[鯤鵬] ~ 곤붕하해안예소[鯤鵬何害鷃鯢笑] 5520
5101 인생여구과극[人生如駒過隙] ~ 인생조로[人生朝露] 5517
5100 손초[孫楚] ~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5515
5099 순릉[順陵] ~ 순문약[荀文若] 5515
5098 각극[刻棘] ~ 각기득기소[各己得其所] 5514
5097 고력사[高力士] ~ 고륜지해[苦輪之海] 5514
5096 최저[崔杼] ~ 최제수인[榱題數仞] 5513
5095 하대관룡방[夏臺關龍逄] ~ 하돈안본[河豚贋本] 5513
5094 추풍[追風] ~ 추풍선[秋風扇] 551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