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79  

군자우[君子芋] 토란의 일종으로 크기는 두괴(斗魁)만하다 한다. <廣志>

군자원포주[君子遠疱廚] 군자는 푸줏간과 부엌을 멀리해야 한다는 말로, 심성을 어질고 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무섭거나 잔인한 일을 하는 것을 해서도 안 되며 봐서도 안 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군자유[君子儒] 논어(論語)군자유(君子儒)가 되고 소인유(小人儒)가 되지 말라.”하였다.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군자(君子)에게 삼락(三樂)이 있는데, 천하에 왕()이 되는 것은 들어가지 않는다. 이 말은 맹자(孟子) 진심상에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라 하였다.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가 물과 같다. , 군자의 사귐은 물을 마시는 것처럼 담박하기 때문에 영구히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85 순악문래동솔무[舜樂聞來同率舞] ~ 순오냉연[旬五冷然] 5176
184 적공빈부[翟公貧富] ~ 적궤[弔詭] 5179
183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5180
182 노생지몽[盧生之夢] ~ 노서[鷺序] ~ 노성승부[魯聖乘桴] 5182
181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186
180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187
179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188
178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189
177 슬갑도적[膝甲盜賊] ~ 슬해[瑟海] 5189
176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190
175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5192
174 주이불비[周而不比] ~ 주인옹[主人翁] ~ 주자[朱紫] 519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