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배[嘉俳] ~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22  

가배[嘉俳] 팔월 한가위.

가법[家法] 집안의 규율.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 송 태조가 어머니의 명령으로 장차 죽은 뒤에 그의 동생 광의(匡義; 태종)에게 제위(帝位)를 전할 것을 조보(趙普)를 시켜 글로 쓰게 하여 금궤(金櫃)에 간직하였다.

가병[佳兵] 군대를 일으켜 싸우기를 좋아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31()잘 만든 무기는 불길한 연모이다.[夫佳兵者 不祥之器]”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가봉녀[加捧女] 전부(前夫)의 아들을 거느린 재가녀(再嫁女)이다. , 전 남편의 아들을 데리고 재혼한 여자를 말한다.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공자가 초() 나라에 있을 때 은자(隱者)로서 광()이라 일컫던 접여(接輿)봉이여 봉이여, 어이 이리도 덕이 쇠하였나.”라고 노래하면서 공자 앞을 지나갔다. <史記 卷四十七 孔子世家, 論語 微子>

 

 



번호 제     목 조회
173 장야유천이운주[長夜幽泉已隕珠] ~ 장야지음[長夜之飮] ~ 장양부[長楊賦] 6024
172 번오기[樊於期] ~ 번옹해사[樊翁解事] 6028
171 서호[西湖] ~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6028
170 원헌[原憲] ~ 원헌씨[原憲氏] ~ 원헌치[原憲恥] 6028
169 추자[鶖子] ~ 추자취율[鄒子吹律] 6029
168 주진촌[朱陳村] ~ 주진혼[朱陳婚] ~ 주창[周昌] 6040
167 백향산[白香山] ~백헌[白軒] 6043
166 자장포궤[子張鋪几] ~ 자전무고[紫電武庫] ~ 자조[煮棗] 6043
165 좌정관천[坐井觀天] ~ 좌태충[左太冲] 6050
164 주이불비[周而不比] ~ 주인옹[主人翁] ~ 주자[朱紫] 6052
163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6056
162 주류[肘柳] ~ 주륜취개[朱輪翠蓋] ~ 주륜화불[朱輪華紱] 606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