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한[子罕] ~ 자항[慈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880  
♞자한[子罕] 춘추 때 송나라의 현신(賢臣)으로 사성자한(司城子罕)을 말한다. 성은 악(樂)이고 이름은 희(喜)다. 근검청렴한 관리로 이름이 높았다. 송나라 사람이 옥을 얻어, 사성(司城) 벼슬의 자한에게 바쳤으나, 자한이 받지 않았다. 옥을 바치는 사람이 ”그것을 옥 감정자에게 보여주니 보배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바치는 것입니다.”고 말하자, ”나는 탐하지 않는 마음을 보배로 삼고, 그대는 옥을 보배로 여긴다. 만약 그것을 나에게 주면, 둘 다 보물을 잃게 되는 것이다. 각자 그 보물을 소유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라고 대답했다.
♞자한[子罕] 한비자(韓非子) 이병(二柄) 편에 나와 있는 이야기다. 자한이 송나라 재상이 되었을 때 그 군주 송평공에게 ‘칭찬하고 상주는 일은 백성들이 좋아함으로 주군께서 하시고 처단하고 형벌을 내리는 일은 백성들이 싫어하는 일임으로 신이 맡아 백성들의 원망을 감당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송평공이 ‘훌륭하도다! 나는 좋은 사람이 되고 그대는 나쁜 사람이 되는구나!’라고 말하면서 자한의 청을 허락했다. 그러나 자한은 이로써 송나라의 권력을 잠식하고 나중에는 결국 송나라 군주의 권력을 빼앗았다.
♞자합[子合] 주희(朱熹)의 문인인 왕우(王遇)의 자이다.
♞자항[慈航] 불교에서 쓰는 용어로, 부처와 보살이 자비스런 마음으로 대중을 제도하여 생사의 고해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 마치 배로 사람들을 태워 물을 건너게 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17 좌사[左史] ~ 좌상춘[座上春] 5898
5116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5898
5115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5897
5114 각궁가수[角弓嘉樹] ~ 각궁편[角弓篇] 5896
5113 잠저[潛邸] ~ 잠홀[簪笏] 5896
5112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894
5111 연단[鉛丹] ~ 연단경[鍊丹經] ~ 연담노인[蓮潭老人] 5892
5110 설니홍조[雪泥鴻爪] 5890
5109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5890
5108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887
5107 포뢰[蒲牢] ~ 포륜[蒲輪] 5882
5106 자한[子罕] ~ 자항[慈航] 588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