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명재경각[命在頃刻] ~ 명전[冥筌] ~ 명조[鳴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41  

♞ 명재경각[命在頃刻] 거의 죽게 되어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름. 곧, 아주 급하고 절박한 상황. 목숨이 경각(頃刻:아주 짧은 시간)에 있다는 데서, 거의 죽게 됨, 거의 숨이 넘어갈 지경에 이름을 말한다.

♞ 명재월[名在月] 상우록(尙友錄)에 “삼국(三國) 시대 오(吳) 나라 사람 감택(闞澤)이 3세에, 자기 이름자가 달 가운데 환하게 씌어 있는 꿈을 꾸었다.”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것을 말한다.

♞ 명적[鳴鏑] 명적은 쏘면 공기에 부딪쳐 소리가 나게 만든 화살인데 흉노(匈奴)의 왕인 묵돌(冒頓)이 만든 것이므로, 전하여 흉노를 가리킨다.

♞ 명전[冥筌] 강엄(江淹)의 시에 “명전(冥筌)을 헤치고 공중에 논다.”는 말이 있으니, 세속에 미혹한 것이 물고기가 통발속에 있는 것과 같다는 뜻인 듯하다.

♞ 명조[鳴條] 지금의 산서성(山西省) 안읍진(安邑鎭)의 북쪽에 있는 지명으로, 걸왕(桀王)이 상탕(商湯)과 싸우다가 이곳에서 죽었다고 한다. 사기(史記) 제2권 하본기(夏本紀)에 “탕이 덕을 닦으니 제후들이 모두 탕에게 귀의하였다. 이에 탕이 군사를 거느리고 걸왕을 정벌하니, 걸왕이 명조로 도망가서 드디어 죽었는데, 걸왕이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탕을 하대(夏臺)에서 죽이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른 것이 후회스럽다,’라 하였다.”라고 하였다.

♞ 명조[鳴條] 지금의 하남성 개봉시(開封市) 북 봉구현(封丘縣) 서쪽. 하나라의 마지막 왕 걸왕(桀王)이 은나라의 탕(湯)임금과 싸워 패하고 도망간 곳이다[桀奔於鳴條].

 

 



번호 제     목 조회
4865 채봉인[蔡封人] ~ 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 ~ 채색[菜色] 2621
4864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621
4863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621
4862 복차지계[覆車之戒] ~ 복철지계[覆轍之戒] ~ 복파귀[伏波貴] 2622
4861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622
4860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여의여구[如衣如狗] ~ 여이석[厲以石] 2623
4859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626
4858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627
4857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638
4856 명재경각[命在頃刻] ~ 명전[冥筌] ~ 명조[鳴條] 2642
4855 천원지방[天圓地方] ~ 천월노[喘月勞] ~ 천유[穿窬] 2645
4854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65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