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11  

부량가[浮梁賈] []를 파는 장사꾼. 부량(浮梁)은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차가 많이 나는 곳이다. <唐書 食貨志>

부령[腐令] 한 무제(漢武帝) 때 이릉(李陵)을 변호하다가 무제의 노염을 사서 부형(腐刑 ; 宮刑)을 당한 태사령(太史令) 사마천(司馬遷)을 이른 말인데, 전하여 그가 저술한 사기(史記)를 말하기도 한다.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후한 때 곽하(郭賀)가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있으면서 대단히 선정(善政)을 베풀어 백성들이 노래를 지어서 그를 칭송하기까지 하였으므로, 현종(顯宗)이 순수(巡狩)차 그곳에 왔다가 그 사실을 듣고는 특별히 그에게 삼공복(三公服)과 면류관(冕旒冠)을 내리면서, 그로 하여금 부()를 순행할 때에 수레의 휘장을 다 걷어 그의 공복 입고 면류관 쓴 모습을 백성들이 보고 모두 영광스럽게 여기도록 하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二十六>

부릉[涪陵] 부릉은 파촉(巴蜀) 남쪽의 땅 이름이다.

부림[傅霖] () 고종(高宗)이 부열(傅說)을 상()으로 명()하며 했던 말이다. 세상을 건지고 백성에게 은택을 입히라는 말이다. 서경(書經) 열명상(說命上)고종(高宗)이 이르기를 만약에 가뭄이 들거든 너[傅說]를 써서 장마비[]를 내리게 하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고 하였다.”는 구절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865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114
4864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115
4863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115
4862 내무증[萊蕪甑] ~ 내복[萊服] ~ 내빈삼천[騋牝三千] 2117
4861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118
4860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19
4859 천은망극[天恩罔極] ~ 천응증아달[天應憎我達] ~ 천의무봉[天衣無縫] 2120
4858 파과지년[破瓜之年]~파교풍설[灞橋風雪]~파교행음[灞橋行吟] 2120
4857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22
4856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124
4855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124
4854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125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