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88  
♞의려[倚廬] 나무에 의지하여 여막(廬幕)을 짓는다는 데서, 즉 상중(喪中)에 거처하는 여막을 말한다.
♞의려[倚閭] 부모가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하여 동구밖까지 나가서 기다리는 것을 이른다. 전국책(戰國策) 제책 하(齊策下)에, “왕손가(王孫賈)가 나이 15세 때 민왕(閔王)을 섬겼는데, 왕이 달아나서 어디로 갔는지 몰랐다. 그의 부모가 말하기를, ‘네가 아침에 나가서 저녁에 돌아오면 나는 대문에 기대어서[倚門] 바라보았고, 네가 저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마을문에 기대어서[倚閭] 바라보았다. 그런데 너는 지금 왕을 섬기다가 왕이 달아나서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데 어찌하여 돌아왔는가.’하였다.”하였다.
♞의려사[倚閭思] 부모가 자식을 기다리는 마음을 말한다. 전국 시대 왕손가(王孫賈)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네가 아침에 나가 늦게 돌아오면 나는 문에 의지하여 네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저물게 나가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동구 밖에 의지하여 기다린다.”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戰國策 齊策>
♞의려선생[醫閭先生] 하흠(賀欽)을 가리킨다.
♞의려자모[倚閭慈母] 제(齊) 나라 왕손가(王孫賈)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네가 아침에 나가서 늦게 돌아오면 내가 문에 기대어 바라보고, 네가 나가서 안 돌아오면 나는 마을 문에 기대어 바라본다.”하였다.
♞의려지망[依閭之望] 부모가 밖에 나간 자식을 위해 마을 문에 기대어 기다림. 자녀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부모의 마음.
 
 



번호 제     목 조회
197 자오[慈烏] ~ 자오반포[慈烏反哺] ~ 자우[子羽] 5967
196 주남[周南] ~ 주남태사공[周南太史公] 5968
195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969
194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 장수마[莊叟馬] ~ 장수선무[長袖善舞] 5976
193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977
192 번안[飜案] ~ 번영[繁纓] 5978
191 번수[樊須] ~ 번승완불사[樊蠅頑不死] 5980
190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987
189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5988
188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5989
187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989
186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989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