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준성경당여제[事遵誠敬當如祭] ~ 사중구활[死中求活] ~ 사중우어[沙中偶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94  

사준성경당여제[事遵誠敬當如祭] 어떤 일에든 정성과 공경을 다함을 말한다. 제사지낼 때에는 특별히 공경하므로 일을 받들기를 제사지낼 때처럼 한다[承事如祭]”라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사중[四重] 중하게 여겨야 할 네 가지 일. 말을 중히 하고, 행동을 중히 하고, 얼굴 모양을 중히 하고, 좋아하는 것을 중히 하는 것[重言重行重貌重好]이다. <法言 修身>

사중구활[死中求活] 죽음 가운데 삶을 구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에서 살길을 찾아냄을 의미한다. 사중구생(死中求生).

사중상호[紗中像護] ()의 이번(李藩)이 미천했을 때 한 중이 공은 사롱(紗籠) 안에 있는 사람이다.”라 하였다. 그 까닭을 묻자 명부(冥府)에서는 장래 재상될 사람의 화상을 사롱에 넣어 수호하고 있다.”라고 대답하였다.

사중우어[沙中偶語] 모반(謀反) 또는 배신(背信)을 뜻한다. 한 고조(漢高祖)가 공신(功臣) 20여 인을 봉하고 난 후, 그 나머지 사람들이 가끔 모래 위에 서로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으므로, 고조가 그들을 바라보면서 저들이 무슨 얘기를 하는가?”고 묻자, 장량(張良)이 대답하기를 폐하께서는 모르고 계셨습니까? 저들이 바로 모반을 하는 것입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史記 留侯世家>

 

 



번호 제     목 조회
4805 보산[寶山] ~ 보서삼조[報書三鳥] ~ 보시[布施] 2792
4804 사준성경당여제[事遵誠敬當如祭] ~ 사중구활[死中求活] ~ 사중우어[沙中偶語] 2795
4803 원노산[元魯山] ~ 원도[原道] ~ 원도주[元道州] 2795
4802 동공원자건[董公元自健] ~ 동공이곡[同工異曲] ~ 동곽지랑[東郭之良] 2796
4801 책책[嘖嘖]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 처성자옥[妻城子獄] 2799
4800 나타제호[懶惰啼呼] ~ 나함택사[羅含宅舍] ~ 나향독우경출주[懶向督郵傾秫酒] 2802
4799 측조[側調] ~ 측천[則天] ~ 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2802
4798 부새령[符璽令] ~ 부생원[桴生員] ~ 부생유은[浮生有垠] 2803
4797 성철욕승부[聖哲欲乘桴] ~ 성충[成忠] ~ 성취초[醒醉草] 2803
4796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804
4795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806
4794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81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