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천[史遷] ~ 사천[槎川] ~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67  

사천[史遷] 사기(史記)의 저자 사마천(司馬遷)을 가리킨다. 20세 때부터 중국 전토(全土)를 종횡무진 유력(遊歷)하며 견문을 넓혔다.

사천[司天] 사천은 관상감(觀象監)의 별칭이다.

사천[斜川] 중국 강서성의 호숫가에 있는 지명으로, 도잠(陶潛)이 일찍이 여기에서 이웃 사람들과 모여 노닌 적이 있었다.

사천[槎川]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文臣) 이병연(李秉淵)의 호이다.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인데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날렸다.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사기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말미에, 태사공(太史公)이 이르기를 그가 죽던 날 이 세상에서 그를 아는 이 모르는 이 할 것 없이 모두 너무 슬퍼하였다. 그의 충직하고 진실된 마음이 사대부(士大夫)들에게 평소 미쁨을 보였기 때문이다.”라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961 함향기초[含香起草]~함향봉군[含香奉君]~함휼[銜恤]~함흥차사[咸興差使] 2558
4960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558
4959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2559
4958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560
4957 청천[晴川] ~ 청천백일[靑天白日] ~ 청철자삼[靑鐵紫蔘] 2564
4956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564
4955 사천[史遷] ~ 사천[槎川] ~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2568
4954 삼자각모외[三子各慕外] ~ 삼자부[三字符] ~ 삼잔[三孱] 2572
4953 홍렬[鴻烈]~홍로[洪鑪]~홍로점설[紅爐點雪]~홍루[紅淚]~홍류적[鴻留迹] 2573
4952 택리인위미[擇里仁爲美]~택문구[澤門謳]~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2575
4951 화담[花潭]~화당전위[畫堂傳位]~화덕[火德]~화도박수[鞾刀帕首]~화두[話頭] 2580
4950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58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