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59  

삼숙[三宿] 승려가 만행(萬行)을 할 때 뽕나무 아래에서 쉬되 한 나무 아래에서는 3일 이상을 쉬지 않고 자리를 옮기는데, 이는 한곳에 오래 머무르면 연연해하는 마음이 생길까 염려해서, 세속에 대한 미련을 떨쳐 버리기 위하여 사흘 이상은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는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0下 襄楷列傳>

삼숙[三宿] 조정을 떠나면서 왕이 다시 부르기를 기대하여 천천히 가는 것을 말한다. 맹자(孟子)가 천리 먼 길을 꺼리지 않고 제() 나라 왕을 찾아갔다가 뜻이 맞지 않자 떠나면서 왕이 다시 부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3일 동안이나 제 나라 동남쪽에 있는 주()라는 고을에서 묵고 간 일을 말한다. 맹자(孟子) 공손추하(公孫丑下)“3일 동안을 묵고 주 고을[晝邑]을 나왔다[三宿而出晝]”라고 하였다.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정이 든다는 말로, 부도(浮屠)가 애착을 두지 않으려 한 데서 나온 것이다. 후한서(後漢書) 30 하 양해전(襄楷傳)부도가 뽕나무 아래 3일을 머물지 않는 것은 오래 있어 은애(恩愛)가 생기지 않게 하고자 함이니, 정신(精神)을 지극하게 하려는 것이다.[浮屠不三宿桑下 不欲久生恩愛 精之至也]”라고 하였다.

삼숙출주[三宿出晝] 맹자가 제 나라에서 불우(不遇)하여 타국으로 떠나면서도 아직 희망을 가져 차마 얼른 떠나지 못하고 사흘 밤이나 주()에서 머물렀다가 떠났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01 화극[畫戟]~화금[火金]~화누역경[火耨力耕] 1972
400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1971
399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1969
398 천생연분[天生緣分] ~ 천섬[薦剡] ~ 천세학귀삼교월[千歲鶴歸三嶠月] 1966
397 함향기초[含香起草]~함향봉군[含香奉君]~함휼[銜恤]~함흥차사[咸興差使] 1966
396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1961
395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1960
394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1960
393 토각귀모[兎角龜毛]~토간[免肝]~토구[菟裘]~토규연맥[兎葵燕麥] 1960
3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1959
391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1957
390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195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