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삼자각모외[三子各慕外] ~ 삼자부[三字符] ~ 삼잔[三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77  

삼자각모외[三子各慕外] 자로(子路), 염유(冉有), 공서화(公西華)가 자리에 함께 있으면서 증점보다 먼저 자신들의 뜻을 말했는데, 모두 정치에 참여하기를 바라는 뜻이었다.

삼자부[三字符] () 나라 때 유자휘(劉子翬)가 위원리(魏元履)에게 부친 시에 일찍이 머지않아 회복한다는 말을 듣고 이것을 삼자부로 삼아 찼노라[嘗聞不遠復 佩作三字符]”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머지않아서 회복한다는 것은 바로 주역(周易) 복괘(復卦)의 초구효사(初九爻辭)머지않아서 회복하는 것이라, 후회하는 일이 없으리니, 크게 길하다[不遠復 無祗悔 元吉]”라고 한 것을 가리킨다.

삼자부[三字符] 주자(朱子)가 친구에게 지어준 시에 주역의 불원복(不遠復)으로 삼자부(三字符)로 삼아 찬[].”라 하였다. 불원복(不遠復)은 허물 있는 이가 머지 않아 빨리 뉘우쳐서 회복된다는 뜻이다.

삼잔[三孱] ()은 연약하여 무능한 것으로 (劣弱)한 자는 아무리 많아도 쓸모가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 황정견(黃庭堅)의 예장집(豫章集) 6 차운양명숙시(次韻楊明叔詩)필사는 능히 나라를 빛내지만 삼잔은 한 구석도 못 채운다오[匹士能光國 三孱不滿隅]”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黃山谷詩集 卷十二>

 

 



번호 제     목 조회
4961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563
4960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564
4959 탕병객[湯餠客]~탕우[湯憂]~탕탕[蕩蕩]~탕파자[湯婆子] 2564
4958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2566
4957 사천[史遷] ~ 사천[槎川] ~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2571
4956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571
4955 청천[晴川] ~ 청천백일[靑天白日] ~ 청철자삼[靑鐵紫蔘] 2573
4954 삼자각모외[三子各慕外] ~ 삼자부[三字符] ~ 삼잔[三孱] 2578
4953 홍렬[鴻烈]~홍로[洪鑪]~홍로점설[紅爐點雪]~홍루[紅淚]~홍류적[鴻留迹] 2578
4952 택리인위미[擇里仁爲美]~택문구[澤門謳]~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2581
4951 화담[花潭]~화당전위[畫堂傳位]~화덕[火德]~화도박수[鞾刀帕首]~화두[話頭] 2583
4950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586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