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숙헌[叔獻] ~ 숙홀[儵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60  
♞숙헌[叔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字)이다.
♞숙호돈[宿好敦] 도공(陶公)은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으로 그의 ‘칠월야행강릉도중작(七月夜行江陵途中作)’이라는 시에 “시서야 진작부터 좋아했고 말고, 동산의 숲 둘러봐도 속된 뜻이 하나 없네.[詩書敦宿好 林園無俗情]”라는 구절이 있다.
♞숙호충비[宿虎衝鼻]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공연한 일을 해서 큰 화를 당함, 불리(不利)함을 자초(自招)한다는 말이다. 負薪入火(부신입화).
♞숙홀[儵忽] 숙(儵)과 홀(忽)은 신(神)의 이름.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에 “남해(南海)의 신을 ‘숙’이라 하고 북해(北海)의 신을 ‘홀’이라 하며 중앙(中央)의 신을 ‘혼돈(渾沌)’이라 한다. 숙과 홀이 혼돈을 찾아갔더니 혼돈은 이들을 잘 대접하였다. 숙과 홀은 혼돈의 은혜를 갚으려고 ‘남들은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이 있어 이것으로 보고 들으며 숨을 쉬고 밥을 먹는데 혼돈만은 없으니 우리들은 시험삼아 한번 구멍을 뚫어 주자’하고는 하루에 한 구멍씩 뚫었더니, 혼돈은 7일 만에 결국 죽고 말았다.”하였다. 혼돈은 땅을 말한 것으로 맨 처음의 혼돈은 형체가 없었는데 구멍을 뚫어 죽고나서부터 지금과 같은 지구의 형체가 생겼다는 전설이 있다.
♞숙홀[儵忽] 재빨리 달린다는 말이다. 홀연히. 갑자기.
 
 



번호 제     목 조회
197 자오[慈烏] ~ 자오반포[慈烏反哺] ~ 자우[子羽] 5967
196 주남[周南] ~ 주남태사공[周南太史公] 5968
195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969
194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 장수마[莊叟馬] ~ 장수선무[長袖善舞] 5976
193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977
192 번안[飜案] ~ 번영[繁纓] 5978
191 번수[樊須] ~ 번승완불사[樊蠅頑不死] 5979
190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987
189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5988
188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5988
187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989
186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989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