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여의여구[如衣如狗] ~ 여이석[厲以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23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나라 때 왕개(王愷)와 석숭(石崇)이 서로 호부(豪富)함을 자랑하였는데, 하루는 왕개가 두어 자쯤 되는 산호수(珊瑚樹)를 석숭에게 자랑하자, 석숭이 여의장으로 그 산호수를 때려부수고는 자기 집에 있는 산호수를 보여 주는데 거기에는 5, 6척이나 되는 것이 수없이 많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여의여구[如衣如狗] 구름이 일어나는 모양을 형용하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 가탄(可歎)’하늘에 뜬 구름은 흰옷 같더니만, 어느새 변해 푸른 개 같아라.[天上浮雲似白衣 斯須改變如蒼狗]”라고 하였다.

여이석[厲以石] 양치질을 말한다. () 나라 손초(孫楚)는 은거(隱居)하려 하여 벗 왕제(王濟)에게 돌을 베고 물로 양치질하겠다는 말을 잘못 돌로 양치질하고 물을 베겠다.”라 하였다. 왕제는 물을 어떻게 베며 돌로 어떻게 양치질하는가.”라고 반문하자, 손초는 물을 베는 것은 귀를 씻으려 해서이고 돌로 양치질하는 것은 이빨을 닦으려고 해서이다.”라 하여 둘러대었다. <晉書 卷五十六 孫楚傳>

 

 



번호 제     목 조회
4865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621
4864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621
4863 복차지계[覆車之戒] ~ 복철지계[覆轍之戒] ~ 복파귀[伏波貴] 2622
4862 채봉인[蔡封人] ~ 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 ~ 채색[菜色] 2622
4861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623
4860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여의여구[如衣如狗] ~ 여이석[厲以石] 2624
4859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627
4858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627
4857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639
4856 명재경각[命在頃刻] ~ 명전[冥筌] ~ 명조[鳴條] 2642
4855 천원지방[天圓地方] ~ 천월노[喘月勞] ~ 천유[穿窬] 2645
4854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65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