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용양[龍驤] ~ 용양군[龍陽君] ~ 용양목노[龍陽木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719  

용양[龍陽] 남색을 용양(龍陽)이라 한다. 이것은 전국 시대의 위() 나라에 행신(幸臣) 용양군(龍陽君)이 있어서 이로 인해 이름된 것이다.

용양[龍驤] 용양(龍驤)은 만곡(萬斛)이나 싣는 큰 배를 가리킨다. () 나라 용양장군(龍驤將軍) 왕준(王濬)이 오() 나라를 정벌할 적에 일찍이 큰 배를 만들어서 정벌하였다. <晉書 卷42 王濬列傳>

용양군[龍陽君] 위왕(魏王)이 남색(男色)인 용양군과 함께 배를 타고 낚시질하는데 용양군이 고기 십여 마리를 낚고는 눈물을 흘렸다. 위왕이 왜 우는냐고 묻자 신이 처음 고기를 낚으매 매우 기뻐했지만 다음에 낚은 고기가 더욱 컸으므로, 신은 먼저 낚은 고기를 곧 버리고 싶었습니다. 신이 지금은 대왕의 침석(枕席)을 받들고 있지만 천하에는 미인(美人)이 많은지라 신이 대왕의 사랑하심을 받고 있음을 알면 모두 대왕에게 올 것입니다. 그러면 신도 앞에 낚은 고기와 같이 버려지게 될 것이니, 어찌 눈물을 흘리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戰國策 魏策>

용양만곡[龍驤萬斛] 용양은 진 무제(晉武帝) 때의 용양장군 왕준(王濬)을 말하고, 만곡선은 대단히 큰 배를 가리키는데, 왕준이 일찍이 무제로부터 오()를 정벌하라는 명을 받고, 사방이 20()에 무려 2천 여명의 군사를 태울 수 있는 큰 배를 건조하여 오 나라를 쳐서 크게 승리했었다. <晉書 卷四十二>

용양목노[龍陽木奴] 목노(木奴)는 감귤(柑橘)의 별칭인데, () 나라 단양태수(丹陽太守) 이형(李衡)이 용양현의 모래섬 20리 지경에 감귤나무를 심어놓고, 임종시에 자식에게 이르기를 우리 마을에 목노 천 그루가 있으니, 의식(衣食)은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21 진착[珍錯] ~ 진첩[晉帖] ~ 진초경[晉楚卿] 6922
5320 가기[佳氣] ~ 가기의방[可欺宜方] ~ 가농성진[假弄成眞] 6887
5319 지난이퇴[知難而退] ~ 지당대신[至當大臣] ~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6854
5318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 거황[居肓] 6816
5317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6794
5316 죽루[竹樓] ~ 죽림우[竹林友] ~ 죽림현[竹林賢] 6775
5315 증제[烝祭] ~ 증창승부[憎蒼蠅賦] ~ 증처회유[贈處回由] 6758
5314 진진[津津] ~ 진진[振振] ~ 진진약[秦晉約] 6747
5313 죽참순속[竹驂淳俗] ~ 죽취일[竹醉日] ~ 준골[駿骨] 6737
5312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6726
5311 용양[龍驤] ~ 용양군[龍陽君] ~ 용양목노[龍陽木奴] 6720
5310 자영[紫纓] ~ 자예[自艾] ~ 자예음[雌蜺飮] 664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