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운래억이간[雲來憶已看] ~ 운뢰교구오[雲雷交九五] ~ 운몽[雲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55  

운래억이간[雲來憶已看] 형제간의 그리움을 말한 것이다. 두보(杜甫) 시에 아우 그리워 구름 보며 대낮에 졸고 있다네.[憶弟看雲白日眠]”라는 구절이 있다.

운로[雲路] 청운(靑雲)의 길로서 벼슬길을 말한다.

운뢰[雲雷] 운뢰는 조정의 은혜로운 계책을 뜻하는 말이다.

운뢰교구오[雲雷交九五] 괘상(卦象)의 변화에 대하여 말한 것으로 둔괘(屯卦)가 복괘(復卦)로 변했다는 말이다.

운모[雲母] 돌비늘. 백운모(白雲母)와 흑운모(黑雲母)가 있는데 백운모는 유리의 대용으로 쓰인다.

운모택[雲母宅] 운모는 백색 화강암(花岡巖)의 일종으로 눈빛을 비유한 것이며, 택은 이라는 뜻으로 눈이 많이 쌓였음을 말한 것이다.

운몽[雲夢]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지금의 호북성 강릉과 기춘 사이에 있던 큰 호수가 유력하다.

운몽[雲夢] 초 나라 칠택(七澤)의 하나. 대택(大澤)의 이름으로 사방이 9백 리나 된다고 한다. (), () 이전엔 그리 크지 않은 습지를 지칭했는데, () 이후로 동정호(洞庭湖)까지 포괄하는 큰 호수를 뜻하게 되었다. ()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허부(子虛賦)운몽과 같은 것 여덟 아홉 개를 한꺼번에 집어삼키듯, 그 흉중이 일찍이 막힘이 없었다.[呑若雲夢者八九 於其胸中 曾不蔕芥]”라는 표현이 나온다.

 

 



번호 제     목 조회
4865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621
4864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621
4863 복차지계[覆車之戒] ~ 복철지계[覆轍之戒] ~ 복파귀[伏波貴] 2622
4862 채봉인[蔡封人] ~ 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 ~ 채색[菜色] 2622
4861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623
4860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여의여구[如衣如狗] ~ 여이석[厲以石] 2623
4859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627
4858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627
4857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639
4856 명재경각[命在頃刻] ~ 명전[冥筌] ~ 명조[鳴條] 2642
4855 천원지방[天圓地方] ~ 천월노[喘月勞] ~ 천유[穿窬] 2645
4854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65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