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40  

월탁[越橐] 월탁은 월 나라 지방의 전대. 한 고조(漢高祖) 때 변사(辯士) 육가(陸賈)가 한 나라에 복종하지 않은 남월왕(南越王) 위타(尉他)를 회유하기 위해 사신으로 찾아가 목적을 달성하고 위타로부터 금은보화 등 값진 보물을 많이 받았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외국에 나간 사신의 여행 경비를 뜻한다. 육가는 가지고 온 천금(千金)을 그의 아들 다섯에게 2백 금씩 나누어주었다 한다. <史記 卷97 酈生陸賈列傳>

월탁금[越槖金] () 나라 문제(文帝) 때 육가(陸賈)가 남월(南越)에 사신으로 갔다가 오면서 남월 왕이 주는 재물을 싸 가지고 와서 부자가 되었다. <史記 卷97 陸賈列傳>

월탁련진[越槖連軫] 한 나라 문제(文帝) 때 육가(陸賈)가 남월(南越)에 사신으로 갔다가 오면서 남월의 왕이 천금(千金)을 주는 것을 받아 가지고 와서 그의 아들 다섯에게 2백 금씩 나누어 주었다. 남월의 왕 조타(趙侘)가 한 나라 문제 때 스스로 왕이 되어 무제(武帝)라고 칭하였는데, 문제가 육가를 사신으로 보내어 타이르자 드디어 황제의 호칭을 버리고 신()이라 칭하였다. <史記 卷97 酈生陸賈列傳>

월태화용[月態花容] 달 같은 자태와 꽃 같은 얼굴. 아름다운 여자의 고운 모습과 태도를 이른다.

월파루[月波樓] 황강성(黃岡城) 위에 있던 누각이다.

월평[月評] 월단평(月旦評)으로, 인물(人物)을 품평(品評)하는 것을 말한다. () 나라 때 허소(許劭)가 향당의 인물을 논핵하기를 좋아해서 매월 초가 되면 인물을 다시 품평하였으므로, 여남(汝南) 사람들이 이를 두고 월단평이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68 許劭列傳>

 

 



번호 제     목 조회
4805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2240
4804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2241
4803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242
4802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2243
4801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 ~ 채화지[採華芝] 2244
4800 태계[台階]~태공[太公]~태공망[太公望] ~태공병법[太公兵法] 2245
4799 왕좌[王佐] ~ 왕준[王濬] ~ 왕진[王振] 2247
4798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249
4797 원중랑[袁中郞] ~ 원중종죽개삼경[園中種竹開三逕] ~ 원진[元稹] 2249
4796 화서국[華胥國]~화서지몽[華胥之夢]~화석[華席]~화석정[花石亭] 2249
4795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250
4794 병편작목[秉鞭作牧] ~ 병혈[丙穴] ~ 병협군[騈脅君] 225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