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사구[二寺狗] ~ 이사부[異斯夫] ~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919  

이사[李斯] 전국 시대 초() 나라 사람. () 나라의 객경(客卿)이 되어 진시황(秦始皇)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군현제(郡縣制)를 창립하였다. 젊어서 순경(荀卿)에게 사사하여 제왕(帝王)의 술()을 배웠고 사부에 능하였다.

이사겸[李士謙] 사겸은 이행진(李行進)의 자()이다.

이사구[二寺狗] 두 절의 개. 두 절에 속한 개가 양쪽 절을 분주히 돌아다니다가 어느 한쪽 절에서도 밥을 얻지 못한다는 말. 곧 한 사람이 양쪽에 이름을 걸어 놓고 다니면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사도[李司徒] ()의 안녹산(安祿山) 난리에 큰 공을 세웠던 이광필(李光弼)을 이름이다. <唐書 卷116>

이사부[異斯夫] 신라(新羅) 때의 장군이다. 그가 일찍이 아슬라주(阿瑟羅州; 지금의 강릉)의 군주(軍主)가 되어 우산도(于山島) 즉 지금의 울릉도(鬱陵島)를 공격할 적에 나무로 만든 사자(獅子)로 그들을 위협하여 항복을 받았다고 한다.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이사(李斯)는 초()나라 사람으로 진나라에서 성공하여 승상(承相)으로 부귀를 누리다가 뒤에 조고(趙高)에게 무함을 당하여 부자(父子)가 함양(咸陽) 저자에서 사형을 받으면서 아들을 보고 통곡하기를 너와 내가 고향인 상채(上蔡) 동문(東門)에 누른 개를 이끌고 사냥하던 것을 언제나 다시 하리.”라고 하였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745 왕태후[王太后] ~ 왕통[王通] ~ 왕패궤대[王霸詭對] 2915
4744 일성편[日省編] ~ 일세구천[一歲九遷] ~ 일소[逸少] 2916
4743 쇄부거[碎副車] ~ 쇄산호[碎珊瑚] ~ 쇄수[碎首] 2916
4742 석노[石砮] ~ 석두일편요강기[石頭一片搖降旗] ~ 석랑[石郞] 2917
4741 단연[澶淵] ~ 단연사점감[丹鉛事點勘] ~ 단요무심이[但要無心耳] 2918
4740 무심가입백구군[無心可入白鷗群] ~ 무아묘[巫娥廟] ~ 무아지경[無我之境] 2919
4739 수사소[數斯疏] ~ 수산[守山] ~ 수산초주상헌황[首山初鑄想軒皇] 2919
4738 신번길방[申樊吉方] ~ 신부약[薪斧約] ~ 신비[辛毗] 2919
4737 이사구[二寺狗] ~ 이사부[異斯夫] ~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2920
4736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923
4735 응점덕성취[應占德星聚] ~ 응접불가[應接不暇] ~ 응진[應眞] 2925
4734 선리운손[仙李雲孫] ~ 선림[禪林] ~ 선말[仙襪] 292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