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859  

이서[彝敍] 이서는 남고(南皐) 윤규범(尹奎範)의 자이다.

이서기지심서인[以恕己之心恕人]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이석[李石] 이석은 자는 중옥(仲玉)인데, 당 문종(唐文宗) 때 호부 시랑(戶部侍郞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다.

이선[珥蟬] 이선은 초선관(貂蟬冠)으로 한대(漢代)의 시중(侍中) 상시(常侍)들이 쓰던 관인데 전()하여 높은 벼슬아치들을 가리킨 것이다.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나라 문천상(文天祥)의 자(). 문천상이 원병(元兵)에게 패하고 연경(燕京) 토굴 속에 갇혀 있으면서 지은 시 중에 유감(有感)이라는 제목이 있다. <文山集 卷20>

이섭[利涉] 물을 건너는 데 편리하게 해 놓은 것을 말한다.

이성[李晟] () 나라 사람. 자는 양기(良器). 당 덕종(唐德宗) 때 주자국(朱泚國)을 평정하고 경사(京師)를 수복했음. 덕종은 天生李晟 以爲社稷 非爲朕也라고 말했음.

이성[犂星] 별자리 이름. 이 별자리가 나타나면 봄갈이를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번호 제     목 조회
4769 창망귀[悵忘歸] ~ 창방[唱榜] ~ 창승조[蒼蠅弔] 2867
4768 사도[師道] ~ 사도운[謝道韞] ~ 사돈팔촌[査頓八寸] 2869
4767 유공진[庾公塵] ~ 유공흥[庾公興] ~ 유과[유과] 2869
4766 반점[反坫] ~ 반제매형[礬弟梅兄] ~ 반직[伴直] 2872
4765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875
4764 녹야별업[綠野別業] ~ 녹야장[綠野庄] ~ 녹엽성음[綠葉成陰] 2877
4763 양자루[羊子淚] ~ 양자운[揚子雲] ~ 양자저서공자부[揚子著書空自負] 2877
4762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878
4761 무사[蕪史] ~ 무사시폐훈[無邪詩蔽訓] ~ 무사주시[無邪周詩] 2879
4760 농수[隴水] ~ 농승[聾丞] ~ 농암집[農巖集] 2880
4759 일제[日躋] ~ 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 일주관[一柱觀] 2882
4758 묘주[卯酒] ~ 묘착장인륜[妙斲匠人輪] ~ 묘체[妙諦] 288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