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성혜[自成蹊] ~ 자송[自訟] ~ 자수선무[長袖善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02  

자성혜[自成蹊]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는 꽃과 열매가 다 좋아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는 바람에 그 밑에 절로 길이 생긴다는 뜻으로, 원래는 덕행 있는 사람이 무언중에 남을 심복시키는 데에 비유하는 말이다.

자소[紫綃] 붉은 명주로 된 머리띠를 말한다. 머리카락이 아래로 내려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머리를 동여매는 것이다.

자송[自訟] 공자가 자신의 허물을 보고서도 마음속으로 자책하는 사람을 나는 보지 못하였다.[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라고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論語 公冶長>

자수금장[紫綬金章] 자수는 자색 인끈, 금장은 금인(金印)으로 모두 고관들이 차는 것들이다.

자수삭발[自手削髮] 제 손으로 머리를 깎음. 하기 어려운 일을 남의 힘을 빌지 않고 제 힘으로 처리한다는 뜻이다.

자수선무[長袖善舞] 긴 소매가 춤을 잘 춘다. 어떤 일을 함에 있어 좋은 조건을 갖춘 사람이 유리하다는 뜻이다.

자수성가[自手成家] 물려받은 재산이 없는 사람이 자신의 힘으로 한 살림을 이룩하는 것이다.

자수성가[自手成家] 자신의 손으로 집안을 이룸. 물려받은 재산 없이 제 힘으로 재산을 모아 한 살림을 이룩함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5105 자한[子罕] ~ 자항[慈航] 5901
5104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901
5103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898
5102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898
5101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897
5100 정유격[程遊擊] ~ 정이불박[精而不博] 5897
5099 이소부[離騷賦] ~ 이소원[離騷怨] ~ 이소향초[離騷香草] 5897
5098 계돈사[雞豚社] ~ 계로여금각희문[季路如今卻喜聞] 5896
5097 죽백[竹柏] ~ 죽부[竹符] ~ 죽사부[竹使符] 5896
5096 희황[羲皇] ~ 희황인[羲皇人] 5892
5095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892
5094 포뢰[蒲牢] ~ 포륜[蒲輪] 589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