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79  

자수추망[刺水抽芒] 바늘이 물을 찌르는 것처럼 싹이 물 위로 솟아 나온 것을 표현한 것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이랑 나눈 푸른 물결 구름 진처럼 치달리고, 솟아 나온 벼 싹들 녹색 침이 물 찌르듯.[分疇翠浪走雲陣 刺水綠鍼推稻芽]”이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11 無錫道中賦水車>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가 꼰 새끼줄로 스스로를 묶음. 자기가 한 말이나 행동 때문에 자기 자신이 구속되어 괴로움을 당하게 됨 또는 번뇌로 자기 자신을 괴롭힘을 비유하는 말이다.

자승자박[自繩自縛] 제 줄로 제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말이나 행동으로 자기가 속박(束縛)을 당하는 것을 말한다.

자시[自是] 이 절로. 이것이 바로.

자시[自市] 자신을 비싼 값에 팔려고 안달하는 것을 말한다.

자신[紫宸] 조정 백관과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는 정전(正殿)의 이름이다.

자신[雌辰] 퇴장(退藏)의 때를 이른다. 노자(老子)知其雄 守其雌가 있다.

자신지[子愼之] 논어(論語) 술이(述而)부자(夫子)가 조심하는 것은 재계(齋戒정전(征戰질병(疾病)이었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185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982
184 일몽읍경괴[一夢泣瓊瑰] ~ 일묵도망진일언[一黙都忘盡日言] ~ 일민[逸民] 5983
183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986
182 일배승지작일원[一倍乘之作一元] ~ 일백팔반[一百八盤] ~ 일번화[一番花] 5987
181 적송[赤松] ~ 적송자[赤松子] 5990
180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6002
179 자기야상우두고[紫氣夜上牛斗高] ~ 자기출서관[紫氣出西關] ~ 자니[紫泥] 6006
178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 ~ 일망무제[一望無際] ~ 일명경인[一鳴驚人] 6008
177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6014
176 현도[玄都] ~ 현도도수[玄都桃樹] 6015
175 백하[白下] ~ 백하골[柏下骨] 6021
174 가배[嘉俳] ~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602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