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39  

자암[紫巖] 남송(南宋) 초기 금() 나라에 항거한 대표적 인물인 장준(張浚)의 별호(別號)이다. 그가 역전(易傳)을 지으면서 그 호를 지어 사용하였는데, 그 뒤로 세상에서 그를 존경하여 자암선생(紫巖先生)으로 일컬었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5년에 양회(兩淮) 제로(諸路)의 군마(軍馬)를 총동원하여 대대적으로 북벌(北伐)을 행한 기록이 있다. <宋史 卷361 張浚傳>

자앙[子昂] 자앙(子昂)은 당() 나라 때 문장가인 진자앙(陳子昂)을 말하는데 일대 문호(文豪)로 유명했다.

자야[子夜] 악부 이름이자 이를 만든 진() 나라 여자의 이름이다.

자야[子野] 춘추 시대 진() 나라 악사(樂師)였던 사광(師曠)의 자. 그는 귀가 대단히 밝아 음률(音律)에 밝게 통했다 한다.

자야가[子夜歌] () 시대 악곡 이름. 당서(唐書) 악지(樂志)진 나라 여자 자야(子夜)가 이 곡을 지었는데 소리가 매우 애절하였다.”고 하였다.

자약야[自若也] ‘스스로 같습니다예전의 자기와 같다. 전과 같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6147
5200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6147
5199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6146
5198 장씨지족[張氏知足] ~ 장안미[長安米] ~ 장안살불오[莊雁還宜殺不嗚] 6146
5197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6140
5196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6136
5195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6133
5194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6128
5193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6127
5192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6123
5191 왕사진[王士禛] ~ 왕사축승[王思逐蠅] ~ 왕상[王祥] 6122
5190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무산운우[巫山雲雨] 612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