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지미[紫芝眉] ~ 자지전[柘枝顚] ~ 자진곡[子眞谷]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18  

자지미[紫芝眉] 미목이 청수하고 아름다움. 방관(房琯)이 원덕수(元德秀)를 볼 때마다 감탄하며 이르기를 저 보랏빛 영지같이 청수한 미목(眉目)을 대하면 그때마다 사람으로 하여금 명리(名利)에 관한 마음이 싹 가시게 만든다네.”라고 하였다고 한다. <唐書 元德秀傳>

자지엽엽[紫芝曄曄] 하 황공(夏黃公) 등 네 사람이 진()나라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숨어살면서 노래를 짓기를 빛나는 붉은 지초(芝草)는 요기할 만하도다.[燁燁紫芝可以療飢]”라고 하였는데, 그들을 곧 상산사호(商山四晧)라 부른다.

자지전[柘枝顚] 자지무(柘枝舞)라는 춤을 말하는데, ()의 구준(寇準)이 이 춤을 무척 좋아했으므로 회객(會客)들도 으레 이 춤을 추되, 하루가 다 지나야 그치곤 하였기 때문에 그 당시에 자지전이라 일컬었다. <夢溪筆談 卷五>

자진[子晉] 왕자교(王子喬). 주 영왕(周靈王) 태자 진()이 신선의 도를 닦아서 후산(緱山)에 피리[]를 불며 학을 타고 갔다 한다.

자진[子眞] 자진(子眞)은 한 나라 매복(梅福)의 자. 왕망(王莽)이 정권을 제멋대로 하자, 하루 아침에 처자도 가정도 버리고 구강(九江)으로 떠나 오시문졸(吳市門卒)이라고 변성명을 하고 지내다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漢書 卷六十七>

자진곡[子眞谷] 정자진(鄭子眞)의 곡구(谷口). 자진은 정박(鄭朴)의 자이고, 곡구는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지명이다. 정자진이 곡구에 살면서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암석 아래에서 농사지으면서 살았는데, 이름이 경사(京師)에 진동하였다. <法言 問神>

 

 



번호 제     목 조회
161 덕기[德驥]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 덕성[德星] 6120
160 인적사양[隣笛斜陽] ~ 인적상심[隣笛傷心] ~ 인정물[人情物] 6122
159 현도[玄都] ~ 현도도수[玄都桃樹] 6124
158 장요미[長腰米] ~ 장우[張禹] ~ 장욱필[張旭筆] 6126
157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무산운우[巫山雲雨] 6127
156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6129
155 지도[軹道] ~ 지도난문[至道難聞]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6129
154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6132
153 왕사진[王士禛] ~ 왕사축승[王思逐蠅] ~ 왕상[王祥] 6133
152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6136
151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6137
150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614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