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465  

장순[張巡] ()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이다. 천보(天寶) 연간에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처음에 진원 영(眞源令)으로 있으면서 백성들을 인솔하고 당 나라의 시조인 현원황제(玄元皇帝)의 묘()에 나아가 통곡한 다음 기병(起兵)하여 반란군을 막았다. 그 뒤에는 강회(江淮)의 보장(保障)인 수양성을 몇 달 동안 사수하고 있었는데, 구원병이 오지 않아 양식은 다 떨어지고 힘은 다 소진되어 성이 함락되었다. 그러자 태수(太守)로 있던 허원(許遠)과 함께 사절(死節)하였다. <舊唐書 卷187下 忠義列傳 張巡>

장순원[張順院] 중종때 장순손(張順孫)이 판서(判書)의 지위에 있으면서 광주(廣州)에 외람되이 원을 짓고 신원(新院)’이라 이름하였는데, 지나는 행인마다 장순손의 위인을 비루하게 여겨 신원을 그의 이름에 빗대서 장순원이라고 기롱해 부른 말이다.

장신[臟神] 오장신(五臟神)을 말한다. 도교(道敎)에서는 심(), (), (), (), ()의 오장을 각각 주관하는 신이 있다고 주장한다.

장신초[長信草] 한 성제(漢成帝)의 궁녀 반첩여(班婕妤)가 조비연(趙飛燕) 자매에게 미움을 받아 장신궁(長信宮)에 물러가 있던 고사를 읊은 시로, 전문은 다음과 같다. “長信宮中草 年年愁處生 時侵珠履跡 不使玉階行

 

 



번호 제     목 조회
5273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6477
5272 출장입상[出將入相] ~ 출필고반필면[出必告反必面] 6476
5271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6466
5270 주죽타[朱竹垞] ~ 주중선[酒中仙] ~ 주중인지개적[舟中人之皆敵] 6466
5269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6462
5268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추래[一椎來] ~ 일출처천자[日出處天子] 6459
5267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6457
5266 자서해검오강주[子胥解劍吳江舟] ~ 자설[刺舌] ~ 자성[子成] 6452
5265 가도멸괵[假道滅虢] ~ 가도벽립[家徒壁立] ~ 가돈[家豚] 6449
5264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6446
5263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6438
5262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643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