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59  

장실[丈室] 유마경(維摩經)에 있는 말인데, 유마거사(維摩居士)가 거처하는 방이 사방(四方)으로 한발[一丈]이므로, 그 방을 방장(方丈), 또는 장실(丈室)이라 한다. 뒤에 고승(高僧)의 거처하는 방을 그렇게 부른다.

장실망언시법문[丈室忘言是法門] 유마 거사가 대승 보살들 앞에서 시현(示現)한 중도(中道)의 불이법문(不二法門)을 말한다. 유마경(維摩經)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無有文字語言 是眞不二法門也라 하였다.

장실봉산[藏室蓬山] 모두 장서실을 가리킴. 후한 때 장서실인 동관(東觀)을 가리켜 노씨장실(老氏藏室도가봉래산(道家蓬萊山)이라 일컬은 데서 온 말인데, 즉 노씨장실은 옛날 노자(老子)가 장실주하사(藏室柱下史)를 지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도가봉래산은 곧 봉래산의 선부(仙府)에는 유경 비록(幽經祕錄)이 다 쟁여져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後漢書 卷二十三>

장심[漳潯] 유정의 시에 내가 고질병에 모질게 걸려들어, 맑은 장수 물가에 숨어서 살았노라.[余嬰沈痼疾 竄身淸漳濱]”라는 구절이 있는데, 문인의 병을 일컬을 때 흔히 공간병(公幹病)’이 거론된다.

장심문[將心問] 달마조사(達摩祖師)가 소실산(少室山)에 있을 때에 혜가(惠可)가 와서 마음이 불안하니 편안케 하여 주소서.”라 하고 물은즉, 달마(達摩)마음을 가져오너라. 너를 안심시켜주마.[將心來與汝安]”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6160
5200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6158
5199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6157
5198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6156
5197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6148
5196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6147
5195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6140
5194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6139
5193 왕사진[王士禛] ~ 왕사축승[王思逐蠅] ~ 왕상[王祥] 6136
5192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6134
5191 지도[軹道] ~ 지도난문[至道難聞]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6133
5190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613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