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467  

장원백[壯元柏] 성균관(成均館) 서쪽 뜰에 있던 잣나무. 과거(科擧)를 앞둔 어느날 세종(世宗)의 꿈에 한 마리의 용()이 그 나무에 사려 있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긴 끝에 궁노(宮奴)를 시켜 그 곳에 가보게 하였더니 어느 선비가 전대를 베개 삼아 잣나무 가지에다 발을 걸친 채 자고 있었는데 그 후 과거를 치르고 방()을 부를 때 장원(壯元)을 한 최항(崔恒)의 얼굴이 바로 그 얼굴이었으므로 그때부터 그 잣나무를 장원백(壯元柏)이라 불렀다.

장원수[張元帥] 장만(張晩)을 가리킨다.

장원정[長源亭] 고려 문종(文宗) 10(1056)에 창건한 이궁(離宮). 현 개풍군(開豊郡) 광덕면(光德面) 유정동(柳井洞) 영좌산(領座山) 남록(南麓)에 유지(遺址)가 있다. 고려 역대의 왕이 자주 그곳에 유행(遊幸)하였다.

장원홍[壯元紅] 자말리(紫茉莉)의 이명(異名).

장월[杖鉞] 큰 도끼를 짚음, 또는 큰 도끼를 가짐. 곧 병권(兵權)을 장악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장월회황도[杖鉞恢皇圖] 황도(皇圖)는 제왕(帝王)이 통치하는 판도(版圖)이니, 곧 장군이 부월(鈇鉞)을 잡고 싸움터에 나가 국토를 넓힌 것을 말한다.

장위례[杖尉禮] 매 때린 수고에 대해 위로하는 예. 공형(公兄) 즉 호장(戶長), 이방(吏房) 등이 수령에게 장()을 맞으면 그 본청(本廳)에서 수령에게 대향(大饗)을 올렸는데 이를 장위례라 하였다.

장위위[張衛尉] 한 고조 때 태중대부(太中大夫), 조우(趙禹)와 함께 율령을 제정했던 장탕(張湯)을 가리킨다. 위위(衛尉)는 진() 나라 때 궁중의 수비를 담당하는 벼슬 이름인데, 한 나라 때 중대부령(中大夫令)으로 바꿨다가 도로 환원하였다. 장탕은 나중에 정위(廷衛)와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옥사를 엄하게 다스리고 국가에서 염철(鹽鐵)을 전매하도록 건의하여 장사꾼의 이익 독점을 제한하는 등, 법을 올바르게 집행하였으나 결국 주매신(朱買臣) 등에게 몰려 자살하고 말았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562
5272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551
5271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5551
5270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548
5269 진소유[秦少游] ~ 진수성찬[珍羞盛饌] ~ 진승[陳勝] 5548
5268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542
5267 덕기[德驥]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 덕성[德星] 5530
5266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522
5265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522
5264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5521
5263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5515
5262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51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