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45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지켜야 할 순서가 있다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장유(長孺)는 한() 나라 때 양 효왕(梁孝王)의 중대부(中大夫)였던 한안국(韓安國)의 자()이다. 한 나라 경제(景帝)가 동모제(同母弟)인 양 효왕을 미워하자, 한안국이 사신으로 들어가서 경제의 마음을 풀어 주고 우애의 정을 돈독하게 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108>

장유타여[長孺墮輿] 장유(長孺)는 한() 나라 한안국(韓安國)의 자()이다. 그가 승상의 일을 행하다가 수레에서 떨어져 절뚝거렸다는 기사가 사기(史記) 108에 기록되어 있다.

장유후[章留後] 장은 장구(章仇)인 복성(複姓)의 약칭이요, 유후는 절도사(節度使)의 별칭이니, 이는 장구겸경(章仇兼瓊)을 지칭한 것이다. 그는 영천(潁川) 사람으로 검남 절도사(劍南節度使)를 지냈다.

장육[丈六] 일장 육척(一丈六尺)이 되는 불상을 말한다.

장윤[張允] 오대(五代) 후한(後漢)의 진주(鎭州) 사람. 젊어서는 장문례(張文禮)의 참군(參軍)이 되었고 뒤에 당에 투항하여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郞)을 지냈다. <舊五代史 張允傳>

 

 



번호 제     목 조회
137 주처[周妻] ~ 주천리[珠千履] ~ 주촉[晝燭] 6142
136 자씨[慈氏] ~ 자악묘석[子惡苗碩] ~ 자안[子安] 6143
135 자진곡구[子眞谷口] ~ 자진귀[子晉歸] ~ 자천소오인[自薦笑吾人] 6144
134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6146
133 주야장천[晝夜長川] ~ 주언륜[周彦綸] ~ 주역[周易] 6150
132 자여씨[子與氏] ~ 자여예리[子輿曳履] ~ 자연도태[自然淘汰] 6152
131 대은[大隱] ~ 대은은조시[大隱隱朝市] 6162
130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6162
129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6166
128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6166
127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6167
126 수후[隨侯] ~ 수후지주[隨侯之珠] 6168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