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31  

장창[張敞] 장창은 경조윤(京兆尹)과 기주 자사(冀州刺使)로 있으면서 엄격하게 법을 적용하여 도적을 소탕하고 청명한 정치를 행하였다.

장창[臧倉] 전국 시대 노() 나라 사람이다. 맹자(孟子)가 노 나라 평공(平公)을 만나 보려고 하였으나, 장창이 가로막아서 만나 보지 못하였다. 후대에는 어진이를 해치는 소인배를 지칭하게 되었다. <孟子 梁惠王下>

장창무치[張蒼無齒] 장창은 진() 나라 말기에 유방(劉邦)을 따라 군사를 일으켜 공을 세우고 문제(文帝) 때는 15년 동안 승상을 지낸 인물로, 백여 세가 넘게 살았는데 노년에 이가 없어 젖을 먹고 살았다 한다. <漢書 卷四十二 張蒼傳>

장창치[張蒼齒] () 나라 때 장창(張蒼)은 치아가 없어서 오직 젖[]만 마시면서 백여 세를 살았다는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四十二>

장채[章蔡] 장채는 북송 시대의 소인(小人) 재상으로 일컬어지는 장돈(章惇채경(蔡京)을 합칭한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37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6244
5236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6241
5235 주성[酒聖] ~ 주성강[周成康] ~ 주송심[周宋鐔] 6239
5234 대연[大衍] ~ 대연수[大衍數] ~ 대연오십[大衍五十] 6228
5233 지랑[支郞] ~ 지록위마[指鹿爲馬] ~ 지뢰[地籟] 6220
5232 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 장송풍일[長松風日] ~ 장수[藏脩] 6219
5231 죽지[竹枝] ~ 죽지곡[竹枝曲] ~ 죽지애[竹枝哀] 6210
5230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6208
5229 장주[掌珠] ~ 장주류생주[莊周柳生肘] ~ 장주지몽[莊周之夢] 6206
5228 진량[진良] ~ 진령사[榛苓思] ~ 진뢰[陳雷] 6204
5227 일하무혜경[日下無蹊徑] ~ 일한념아제포재[一寒念我綈袍在] ~ 일한수념여[一寒誰念汝] 6193
5226 수후[隨侯] ~ 수후지주[隨侯之珠] 618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