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593  

주맹[主孟] () 나라 대부 이극(里克)의 처인 맹()주맹(主孟)’이라고 부른 고사에서 기인하여, 주인의 처를 뜻하는 말로 쓰게 되었다. <國語 晉語二>

주명[朱明] 여름의 별칭. 여름을 맡은 신(). 여름은 불[]에 해당하며 빛깔은 붉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로 봄은 청양(靑陽), 가을은 백장(白藏), 겨울은 현영(玄英)이라고 한다.

주명절[朱明節] 하절기를 말한다. () 나라 황제가 입하일(立夏日)에 남교(南郊)에서 여름 귀신을 맞이하면서 주명가(朱明歌)를 불렀던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주무[周武] 주무는 주() 나라 무왕(武王)의 풍악이다.

주무경지주옥[走無脛之珠玉] 보통 어진 인재는 부르지 않아도 저절로 어진 이를 사랑하는 사람의 문 앞으로 모여든다는 뜻으로 쓰인다.

주무릉[周武陵] 무릉은 주세붕(周世鵬)의 호이다.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왜적이 또다시 침략해 올 것에 대비해서 미리 계책을 세워 두어야 한다는 뜻이다. 시경(詩經) 빈풍(豳風) 치효편(鴟鴞篇)하늘에서 아직 장맛비가 내리기 전에, 저 뽕나무 뿌리를 거두어다가 출입구를 단단히 얽어 놓는다면, 지금 이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 어찌 혹시라도 감히 우리 새들을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此下民 或敢侮予]”라는 구절에서 나온 것이다.

주무종[珠無踵] 좋은 구슬을 발이 없어도 사람들이 가지고 멀리 돌아다닐 수 있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주택[周澤] ~ 주평만[朱泙漫]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6625
5308 녹음방초 승화시[綠陰芳草 勝花時] ~ 녹의[綠蟻] ~ 녹의홍상[綠衣紅裳] 6624
5307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6603
5306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6594
5305 진삼[陳三] ~ 진상곶천인정만태[進上串穿人情滿駄] ~ 진서루[鎭西樓] 6594
5304 진시화중귀[秦時火中歸] ~ 진식위[陳寔位] ~ 진양공자[晉陽公子] 6590
5303 진구[秦篝] ~ 진군[眞君] ~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6571
5302 장양왕[莊襄王] ~ 장어민[藏於民] ~ 장열[張說] 6563
5301 징사[徵士] ~ 징심지관[澄心止觀] ~ 징청지[澄淸志] 6560
5300 풍소소역수한[風蕭蕭易水寒] ~ 풍수[風樹] 6556
5299 중정인의공[中正仁義功] ~ 중주[中州] ~ 중채현주록[衆綵絢朱綠] 6546
5298 자지[紫芝] ~ 자지가[紫芝歌] ~ 자지곡[紫芝曲] 654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