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43  

주묵[朱墨] 붉은 먹과 검은 먹으로, 서책에 비점(批點)을 찍거나 혹은 첨삭을 하는데 사용하였다.

주묵[朱墨] 주필(朱筆)과 묵필(墨筆)을 가지고 장부를 정리하는 것으로서, 보통 관청의 사무를 집행하는 것을 말한다.

주묵사[朱墨史] 송 나라 때 범충(范沖)이 찬한 신종실록(神宗實錄)을 말한다. 처음에 범조우(范祖禹)가 신종실록을 찬수하면서 왕안석(王安石)의 잘못에 대해 극론하였는데, 왕안석의 사위 채변(蔡卞)이 이를 미워해서 신종실록을 중수하여 뜯어고치고는 범조우를 유배 보내어 죽게 하였다. 그 뒤 범조우의 아들인 범충이 고종(高宗)의 명을 받아 신종실록을 찬수하면서는 왕안석이 법도를 뜯어고친 잘못과 채경(蔡京)이 나라를 망친 죄를 극론하였다, 그리고 별도로 고이(考異)란 책을 만들어서 거취(去取)를 분명하게 밝혔는데, 구문(舊文)은 묵서(墨書)하고, 삭제한 것은 황서(黃書)하고, 새로 찬수한 글은 주서(朱書)하였으므로, 세상에서는 이를 주묵사라고 한다. <宋史 卷435 儒林列傳 范沖>

주묵필[朱墨筆] 주묵필은 공문을 처리할 때 쓰는 주필(朱筆)과 묵필(墨筆)을 가리킨다.

주문[籒文] 고대(古代)에 사주(史籒)가 만들어낸 자체(字體)이다.

주문[朱門] 왕공(王公) 귀족의 대문으로, 고관대작의 집을 말한다. 상고 때에 왕공 귀족은 그 존귀함을 표시하기 위해 대문을 붉게 칠하였다 한다. 영번로(演繁露)후세의 후왕(侯王)과 달관(達官)들이 사는 집은 다 붉게 꾸몄으므로 주문 또는 주저(朱邸)라고 한다.”고 했다.

주문[籒文] 종정(鐘鼎) 문자로서 대전(大篆)이라고도 한다.

주문[朱門] 주문은 주자(朱子)를 가리킨다.

주문[朱文] 주자(朱子)의 글을 말한다.

주문객[朱門客] 대문을 붉게 칠한 귀족과 부호의 집을 드나들며 친교를 맺는 사람을 말한다.

주문연[主文硏] 문장을 주관하는 문형(文衡), 즉 홍문관 대제학이 쓰는 벼루이다. 이 벼루는 문형이 옥당(玉堂) 과차(科次)에 들어가서 학사(學士)의 글을 시험 보일 때에만 사용하였는데, 문형을 사임할 때에는 이 벼루와 함께 시를 지어 후임자에게 전하는 관례가 있었다.

주문욱욱[周文郁郁] 공자의 말에 () 나라는 2[夏商]의 예()를 보고 만들었으니, 욱욱(郁郁)히 문채롭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49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6200
5248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6195
5247 진선[晉宣] ~ 진성운조차어린[陣成雲鳥次魚鱗] ~ 진소왕[秦昭王] 6187
5246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6173
5245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6172
5244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6170
5243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6170
5242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6169
5241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6145
5240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6144
5239 중산[中山] ~ 중산방만낙양서[中山謗滿樂羊書] ~ 중산참방[中山讒謗] 6141
5238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613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