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옛날에 장주(莊周)가 꿈 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자신이 장주인 줄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얼마 뒤에 깨어나니 바로 장주였다. 이에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 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莊子 齊物論>
♞ 주정[周程] 송(宋)의 성리학자(性理學者) 주돈이(周敦頤)와 정호(程顥)·정이(程頤).
♞ 주정[主靜] 육구연(陸九淵) 자정(子靜)의 주정설을 말한다.
♞ 주정[周鼎] 전국(傳國)의 상징인 구정(九鼎). 우(禹)가 수토(水土)를 평정한 후 구주(九州)에서 바쳐 온 쇠붙이를 한 데 모아 주조한 하나의 큰 솥으로 삼대(三代)시절 그것을 전국의 보물로 삼았었는데, 무왕(武王)이 상(商)나라와 싸워 이긴 후 그 솥을 낙읍(洛邑)으로 옮겨 왔기 때문에 주 나라 솥[周鼎]이 된 것이다. <左傳 桓公 二年>
♞ 주정공사[周情孔思] 주공(周公)의 뜻과 공자(孔子)의 사상이란 말로, 성현의 고상한 정조(情操)를 뜻한다.
♞ 주정상물[鑄鼎象物] 고대(古代)의 하우씨(夏禹氏)가 구주(九州)의 금붙이를 수합하여 구정(九鼎)을 만들고서 거기에다 온갖 물건을 상징한 것을 이름. 좌전(左傳) 선공(宣公) 3년 조(條)에 “夏禹之方有德也 鑄鼎 象百物而爲之備 使民知神姦”이라 하였다.
♞ 주제[主第] 공주의 저택. 보통 왕가(王家)의 귀족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 주제[朱提] 질이 좋은 은(銀)의 이명(異名). 좋은 은이 주제현(朱提縣)에서 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