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15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옛날에 장주(莊周)가 꿈 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자신이 장주인 줄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얼마 뒤에 깨어나니 바로 장주였다. 이에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 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莊子 齊物論>

주정[周程] ()의 성리학자(性理學者) 주돈이(周敦頤)와 정호(程顥정이(程頤).

주정[主靜] 육구연(陸九淵) 자정(子靜)의 주정설을 말한다.

주정[周鼎] 전국(傳國)의 상징인 구정(九鼎). ()가 수토(水土)를 평정한 후 구주(九州)에서 바쳐 온 쇠붙이를 한 데 모아 주조한 하나의 큰 솥으로 삼대(三代)시절 그것을 전국의 보물로 삼았었는데, 무왕(武王)이 상()나라와 싸워 이긴 후 그 솥을 낙읍(洛邑)으로 옮겨 왔기 때문에 주 나라 솥[周鼎]이 된 것이다. <左傳 桓公 二年>

주정공사[周情孔思] 주공(周公)의 뜻과 공자(孔子)의 사상이란 말로, 성현의 고상한 정조(情操)를 뜻한다.

주정상물[鑄鼎象物] 고대(古代)의 하우씨(夏禹氏)가 구주(九州)의 금붙이를 수합하여 구정(九鼎)을 만들고서 거기에다 온갖 물건을 상징한 것을 이름. 좌전(左傳) 선공(宣公) 3년 조()夏禹之方有德也 鑄鼎 象百物而爲之備 使民知神姦이라 하였다.

주제[主第] 공주의 저택. 보통 왕가(王家)의 귀족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주제[朱提] 질이 좋은 은()의 이명(異名). 좋은 은이 주제현(朱提縣)에서 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5504
5260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495
5259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5489
5258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5468
5257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5467
5256 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 장송풍일[長松風日] ~ 장수[藏脩] 5456
5255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5455
5254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5450
5253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443
5252 원헌[原憲] ~ 원헌씨[原憲氏] ~ 원헌치[原憲恥] 5437
5251 가부[家父] ~ 가부결정[可否決定] 5432
5250 벽통[碧筒] ~ 벽파정[碧波亭] 543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