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충어[註蟲魚] ~ 주취[珠翠] ~ 주태사[周太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39  

주충어[註蟲魚] 미세한 동식물의 주해(註解)를 낸다는 뜻으로 번쇄(繁琑)한 훈고(訓詁)의 작업을 가리킨다. 참고로 한유(韓愈)의 시 독황보식공안원지시서기후(讀皇甫湜公安園池詩書其後)’爾雅注蟲魚 定非磊落人이라는 표현이 있다.

주충어[註蟲魚] 벌레 이름이나 새 이름 같은 자질구레한 것을 주석한다는 뜻이다. 본디 이아(爾雅)에서 충어에 대하여 주석한 것을 이른 말인데, 전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고증하는 일을 비유한 것이다.

주취[珠翠] 구슬과 비취(翡翠). 이것은 모두 여인(女人)의 발식(髮飾)에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전하여 여인의 머리꾸미개를 말하는데, 여인을 가리키기도 한다.

주취유[珠翠襦] 비취옥으로 장식한 단의(短衣)를 말한다.

주타[珠唾] 아름다운 시구(詩句) 등을 형용한 말이다. 진서(晋書)기침과 침은 주옥(珠玉)을 이룬다.”는 말이 있다. 말이나 글이 입만 떼면 아름다운 주옥이 된다는 뜻이다.

주태[珠胎] 합중(蛤中)에 들어 있는 진주를 가리킨 말로, 전하여 임신(妊娠)의 뜻으로 쓰인다.

주태사[周太史] 천문(天文)을 맡은 태사관(太史官)이 역서(曆書)를 만들어 올려서 백성에게 시절을 알리게 한다.

주태상[周太常] 후한(後漢) 사람 주택(周澤)으로 태상은 벼슬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05 자한[子罕] ~ 자항[慈航] 5901
5104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901
5103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898
5102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898
5101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897
5100 정유격[程遊擊] ~ 정이불박[精而不博] 5897
5099 이소부[離騷賦] ~ 이소원[離騷怨] ~ 이소향초[離騷香草] 5897
5098 계돈사[雞豚社] ~ 계로여금각희문[季路如今卻喜聞] 5896
5097 죽백[竹柏] ~ 죽부[竹符] ~ 죽사부[竹使符] 5896
5096 희황[羲皇] ~ 희황인[羲皇人] 5892
5095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892
5094 포뢰[蒲牢] ~ 포륜[蒲輪] 589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