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택[周澤] ~ 주평만[朱泙漫]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853  

주택[周澤] 후한(後漢) 사람. 어려서 공양춘추(公羊春秋)와 엄씨춘추(嚴氏春秋)를 익혔다. 벼슬이 태상(太常)이 되자 직언(直言)을 잘하고 종묘(宗廟)를 극진히 공경하였다.

주토[州土] 향읍

주팔[周八] 옛날 주 목왕(周穆王)이 사랑하던 여덟 마리의 준마(駿馬)를 이른 말이다.

주평만[朱泙漫] () 나라 사람. 천금 가산을 탕진해가면서 지리익(支離益)에게서 도룡(屠龍) 솜씨를 배워 3년 만에 기법을 다 익혔으나 결국 그 기술을 써먹을 곳이 없었다. <莊子 列御寇>

주평학재룡[朱泙學宰龍] 쓸데없는 기예를 배운 것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주평만(朱泙漫)이란 사람이 천금의 가산(家産)을 기울여 지리익(支離益)이란 사람에게서 용() 잡는 기술을 배운 결과, 3년 만에 그 기술을 습득하였으나 그 기술을 쓸 데가 없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列禦寇>

주포[珠浦] 주포는 구슬이 생산되던 합포(合浦)를 가리킨 말로, 후한 때 맹상(孟嘗)이 합포 태수(合浦太守)로 나가서, 앞서 그 고을에서 생산되던 진주(眞珠)가 탐오한 전 태수들이 마구 캐냄으로써 모두 다른 고을로 옮겨가 버려서 백성들이 모두 생업을 잃게 되었던 폐단을 이내 바로잡음으로써 그 옮겨갔던 진주가 되돌아와 백성들이 다시 잘 살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주필[周弼] 송 나라 시인. 자는 백강(伯强). 시화에 능했으며, 저서에 문양단평시준(汶陽端平詩雋삼체당시(三體唐詩)가 있다.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붓을 잡고 어려운 시대의 계책을 세우는 등 뛰어난 경륜(經綸)을 선보였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890
5308 주택[周澤] ~ 주평만[朱泙漫]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5854
5307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5841
5306 금성옥진[金聲玉振] ~ 금성척처[金聲擲處] ~ 금성탕지[金城湯池] 5819
5305 주산자해[鑄山煮海] ~ 주생[周生] ~ 주선왕[周宣王] 5814
5304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808
5303 봉상위녀섬[縫裳魏女攕] ~ 봉생마중불부직[蓬生麻中不扶直] ~ 봉선서[封禪書] 5795
5302 자양벽파[紫陽劈破] ~ 자양옹[紫陽翁] ~ 자여[子輿] 5778
5301 가[柯] ~ 가가문전[家家門前] ~ 가개화[可開花] 5769
5300 주죽타[朱竹垞] ~ 주중선[酒中仙] ~ 주중인지개적[舟中人之皆敵] 5761
5299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5752
5298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743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