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301  

주회[晝晦] 낮에도 어둡다.

주회암[朱晦菴] 회암은 주희(朱熹)의 호. 본래는 강학(講學)하던 서실 이름이다.

주후[肘後] 의서(醫書)의 이름인 주후방(肘後方)의 약칭으로, 명의(名醫)인 편작(扁鵲)의 주후방 3권과, 갈홍(葛洪)의 주후방 6, 유항(劉貥)의 주후방 등이 있다. <隋書經籍志, 唐書 藝文志>

주후[柱後] 주후는 법관(法官)이 쓰는 주후혜문관(柱後惠文冠)의 약칭이다.

주후[肘後] ()나라의 갈홍(葛洪)이 찬한 의서(醫書)인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으로, 권질(卷帙)이 많지 않아서 겨드랑이에 끼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어서 이런 이름으로 불리워졌다. 후대에는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는 의서나 몸을 보양하는 약을 지칭하는 뜻으로 쓰였다.

주후결[肘後訣] () 나라의 갈홍(葛洪)이 찬한 의서(醫書)인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으로, 권질(卷帙)이 많지 않아서 간편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어서 이런 이름으로 불리워졌다. 후대에는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는 의서나 몸을 보양하는 약을 지칭하는 뜻으로 쓰였다.

주후관[柱後冠] 옛날에 법관이 쓰던 주후혜문관(柱後惠文冠)의 준말로, 즉 법관을 뜻한다. 보통 해치관(獬豸冠)으로 많이 쓴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주죽타[朱竹垞] ~ 주중선[酒中仙] ~ 주중인지개적[舟中人之皆敵] 6358
5272 은[隱] ~ 은괄[檃栝] 6345
5271 자서해검오강주[子胥解劍吳江舟] ~ 자설[刺舌] ~ 자성[子成] 6345
5270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6345
5269 지월[指月] ~ 지월양복생[至月陽復生] ~ 지음인[知音人] 6340
5268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6337
5267 가도멸괵[假道滅虢] ~ 가도벽립[家徒壁立] ~ 가돈[家豚] 6335
5266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6326
5265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6309
5264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6309
5263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6302
5262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630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