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47  

주후방[肘後方] 의서(醫書)의 이름이다.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는 편작(扁鵲)의 주후방 권과 갈홍(葛洪)의 주후방 6권을 실었고, 당서(唐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유황(劉貺)의 주후방 3권을 기록하였는데, 모두 신선이 되는 비방(祕方)이라 한다.

주후방[肘後方]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의 준말로, () 나라 갈홍(葛洪)이 지은 의서(醫書)이다.

주후혜문[柱後惠文] 법관(法官)과 무관(武官)이 쓰는 모자이다. 장창(張敞)의 동생 장무(張武)가 양국(梁國)의 상()으로 나가면서 양국은 대도(大都)로서 이민(吏民)이 조폐(凋敝)한 상태이니, 마땅히 주후혜문(柱後惠文)으로 탄치(彈治)해야 한다.”고 말하자, 장창이 이를 듣고서 웃으며 안심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張敞傳>

주후혜문관[柱後惠文冠] 옛날 법관(法官)이 쓰던 관이다.

주휘[麈麾] 일명 주미(麈尾)라고도 하는데, 가늘고 기다란 나무 끝에 사슴의 꼬리털을 달아 부채 비슷하게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먼지떨이·파리채로 썼으나 뒤에는 불도(佛徒)들의 위의를 정돈하는 기구가 되었다.

주휘[朱暉] 후한 명제(後漢明帝) 때 남양(南陽) 원현(宛縣) 사람으로 자는 문계(文季)이다. 임회태수(臨淮太守)로 있으면서 정사를 잘하여 그곳 관리와 백성들이 존경하고 사랑한 나머지 노래를 지어 부르기를 강직으로 이룬 사람 남양 땅의 주계로세, 관리 위엄 존경하고 백성 은혜 기린다네.[彊直自遂 南陽朱季 吏畏其威 人懷其惠]”라고 하였다 한다. 주계라고 한 것은 그의 자가 문계이기 때문이다. <後漢書 卷四十三 朱暉傳>

 

 



번호 제     목 조회
5273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562
5272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551
5271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5550
5270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548
5269 진소유[秦少游] ~ 진수성찬[珍羞盛饌] ~ 진승[陳勝] 5548
5268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542
5267 덕기[德驥]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 덕성[德星] 5530
5266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522
5265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522
5264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5521
5263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5515
5262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51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