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459  

지림[祗林] 중인도(中印度) 사위성(舍衛城) 남쪽에 있던 기타태자(祗陀太子)의 동산. 수달장자(須達長者)가 이 땅을 사서 절을 지어 부처님께 바쳤다.

지마분운[指馬紛紜] 세상의 시비(是非)가 혼동된 것을 말한 것으로,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이것이 곧 저것이요 저것이 곧 이것이다. 저것에도 하나의 시비가 있고 이것에도 하나의 시비가 있다. ……손가락을 가지고 손가락의 손가락 아님을 깨우치는 것이 손가락 아닌 것을 가지고 손가락의 손가락 아님을 깨우치는 것만 못하고, []로써 말의 말 아님을 깨우치는 것이 말 아닌 것으로써 말의 말 아님을 깨우치는 것만 못하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지망[地望] 문벌

지면[知面] 새로 상번(上番)하여 올라온 군졸에게 고참자들이 상면(相面)한다는 명목으로 음식을 빼앗아 먹던 퇴폐적인 준례였다.

지명[知命] 50세를 말한다. 명년(命年)이라고도 하며 51세부터 59세까지를 命一, 命二, 命九와 같은 식으로 쓰기도 한다. 논어(論語) 위정(爲政)나는 50세에 천명(天命)을 알았다.[五十而知天命]”하였다.

지명자불원천지기자불원인[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 하늘이 준 자기의 명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아는 사람은 남을 원망하지 않는다.

지목관[枝木冠] 마치 번성한 나뭇가지처럼 화려하게 장식한 관()을 말한다. 장자(莊子) 도척(盜跖)지목관을 쓰고 죽은 소의 가죽을 띠었다.[冠之木之冠 帶牛死之脅]” 하였다.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노자(老子) 79장에 천도(天道)는 친함이 없이 늘 선인(善人)과 함께 한다.” 하였다.

지미[芝眉] 남의 용안(容顔)을 경칭하는 말이다. 제왕세기(帝王世紀)呂望芝眉라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492
5260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5483
5259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460
5258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5457
5257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5454
5256 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 장송풍일[長松風日] ~ 장수[藏脩] 5439
5255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5437
5254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5433
5253 원헌[原憲] ~ 원헌씨[原憲氏] ~ 원헌치[原憲恥] 5429
5252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425
5251 가부[家父] ~ 가부결정[可否決定] 5424
5250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542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