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774  

지반[知班] ()는 주관한다는 뜻으로 반열(班列)의 정리나 또는 그 관원을 말한다.

지발[鷙發] 포학하고 용맹한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백[支伯] ()이 자주지백(子州支伯)에게 천하를 사양하니, 자주지백이 받지 않았다. <장자(莊子)>

지백[智伯]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453년에 죽은 춘추 말 당진국의 정경(正卿)이다. 희성(姬姓)에 원래 순씨(荀氏)였으나 후에 지() 혹은 지()로 바꾸어 지백(智伯)으로 불렀다. 진출공(晉出公) 즉위 초에 부친 지선자(智宣子)로부터 당진국의 정경이 되어 제나라와 정나라를 정벌하고 중산국을 무찔렀다. 주정왕 11년 기원전 458년 조(), (), () 삼가와 연합하여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를 멸하고 그 봉읍들을 나누어 가졌다. 이어서 출공(出公)을 쫓아내고 그의 손자 교()를 새로 세웠다. 이가 진애공(晉哀公)이다. 교만해진 지백은 당진국의 정권을 오로지하고 대신들을 모욕하는 것을 즐겼다. 후에 한위조(韓魏趙) 삼가에 봉지의 할양을 요구하여 한과 위 두 가문으로부터는 만 호에 해당하는 성읍을 빼앗았으나 조가로부터는 거절당했다. 분노한 지백이 한위 이가를 위협하여 삼가가 연합군을 결성하여 조가들의 근거지 진양성(晉陽城)을 공격했다. 3년을 공격했으나 성이 함락되지 않자 진수(晉水)의 물을 막아 진양성을 물에 잠기게 했다. 조가들의 모사(謀士) 장맹담이 한위 이가를 설득하여 반격을 가하자 지백은 잡혀 참수되고 지가는 멸족되었다. 지가를 멸한 한위조 삼가는 지가의 봉지를 포함하여 당진의 공실의 땅까지 모두 삼분하여 나라를 세움으로써 기존의 진(), (), (), () 등과 함께 전국칠웅이 되어 전국시대를 열었다. 이를 역사상 삼가분진(三家分晉)이라 한다.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지백은 지백(知伯)으로 춘추 시대 때 진() 나라 사람이며, 구유(仇猶)는 구유(仇由), 지금의 산서성(山西省) 일대에 있었던 춘추 시대 때의 소국(小國)인데, 지백에 의해 멸망되었다. <史記 卷71 樗里子甘茂列傳>

 

 



번호 제     목 조회
5333 청허휴정[淸虛休靜] 6808
5332 맹분[孟賁] 6788
5331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6775
5330 진단[陳摶] ~ 진대[秦臺] ~ 진락[眞樂] 6713
5329 증계리[曾季貍] ~ 증균[蒸菌] ~ 증리생진[甑裏生塵] 6494
5328 중후관[中侯官]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 ~ 즐풍목우[櫛風沐雨] 6482
5327 가기[佳氣] ~ 가기의방[可欺宜方] ~ 가농성진[假弄成眞] 6442
5326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 거황[居肓] 6431
5325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6418
5324 중달[仲達] ~ 중당[中唐] ~ 중동[重瞳] ~ 중랑녀[中郞女] 6363
5323 녹음방초 승화시[綠陰芳草 勝花時] ~ 녹의[綠蟻] ~ 녹의홍상[綠衣紅裳] 6278
5322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624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