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역[祗役] ~ 지오광흥[持螯狂興] ~ 지웅수자[知雄守雌]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216  

지역[祗役] 임금의 명을 받들어 지방에 나가 일을 보는 것을 말한다.

지연[紙鳶] 정월달에 아이들이 띄워 올리는 종이로 만든 연이다.

지영초[指佞草] 제요(帝堯)의 뜰에 난 풀이름. 아첨하는 사람이 들어오면 꼭 그를 가리켜 주었다 하여 이름을 지영초라 했다 한다.

지오광흥[持螯狂興] () 나라 때 필탁(畢卓)이 일찍이 말하기를 술 수백 섬을 배에 가득 싣고 사시(四時)의 감미(甘味)를 비치하고서 오른손으로는 술잔을 잡고 왼손에는 게의 앞다리를 쥐고 주선(酒船) 안에 떠서 노닌다면 일생을 마치기에 만족하겠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지오흥[持螯興] 주흥(酒興)을 말한다. () 나라 필탁(畢卓)이 끔찍이도 술을 좋아하면서 한 손엔 집게 발 안주, 한 손엔 술 한 잔, 이만하면 일생을 보낼 만하지 않나.[一手拿着蟹螯 一手捧着酒杯 便足以了一生]”라고 말했던 지오파주(持螯把酒)’의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任誕>

지온[地媼] 대지(大地)의 여신. 즉 땅의 신을 가리키는데, 원각(袁桷)의 합문령(閤門嶺) 시에 지온이 신기한 공이 있어, 여기 제존을 모셨네.[地媼神功奇 玆焉奉帝尊]” 하였다.

지용[地用] “하늘에 쓰이는 데는 용()이 제일이고, 땅에 쓰이는 데는 말[]이 제일이다.[天用莫如龍 地用莫如馬]” 하였다. <史記>

지웅수자[知雄守雌] 자신을 낮추어 겸손한 태도로 처신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28()수컷의 강함을 알고서 암컷의 연약함을 지키면 천하 만물이 귀착하는 골짜기 같은 존재가 된다.[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37 주처[周妻] ~ 주천리[珠千履] ~ 주촉[晝燭] 6184
136 자여씨[子與氏] ~ 자여예리[子輿曳履] ~ 자연도태[自然淘汰] 6185
135 천도외신[天都外臣] ~ 천도휴영이익겸[天道虧盈而益謙] 6189
134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6190
133 벽통[碧筒] ~ 벽파정[碧波亭] 6202
132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6202
131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6202
130 대은[大隱] ~ 대은은조시[大隱隱朝市] 6205
129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6205
128 간두지세[竿頭之勢] ~ 간득[看得] 6206
127 위요[魏姚] ~ 위원충[魏元忠] 6210
126 임참여간괴[林慚與澗愧] ~ 임천랍극[臨川蠟屐] ~ 임천성탄[臨川聖歎] 621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