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원[至元] 원 세조(元世祖)의 연호.
♞ 지월[指月] 능엄경(楞嚴經)에 “如人以手指月示人 彼人因指 當應看月 若復觀指 以月爲體”라 하였다.
♞ 지월양동[至月陽動] 11월의 동짓날부터 양(陽)의 기운이 처음 싹트기 시작한다.
♞ 지월양복생[至月陽復生] 동짓달은 주역(周易)의 괘(卦)로 따지면 지뢰복괘(地雷復卦)에 해당하여 위에 있는 다섯 효(爻)는 모두 음획(陰畫)이고 아래에 있는 한 효는 양획(陽畫)인데, 이의 전달인 10월은 중지곤괘(重地坤卦)로서 모두 음획이었다가 동지가 되면 비로소 양획 하나가 생긴다 한다. 그리하여 두보(杜甫)의 소지시(小至詩)에 “천시와 인사는 날마다 재촉하여 동지에 양이 생기니 봄이 다시 오네.[天時人事日相催 冬至陽生春又來]” 하였다.
♞ 지위[脂韋] 비계와 다룬 가죽처럼 윤이 나고 부드러움을 말하는데, 전하여 굳은 지조가 없이 남에게 아첨을 잘하는 데에 비유한다.
♞ 지위계[脂韋戒] 양(梁) 나라 사람 유준(劉峻)이 지은 광절교론(廣絶交論)에 “지위와 같이 편벽하여 남의 성심을 끌어낸다.[脂韋便辟導其誠]” 하였는데, 지위는 곧 기름과 가죽으로서 모두 매우 유연한 물질이고, 편벽은 곧 남의 비위를 잘 맞추는 것을 뜻함이니, 즉 처세하는 데 있어 유연한 태도로써 권세 있는 사람들로부터 성심을 끌어내는 것을 뜻한다.
♞ 지유이락궁수사[志由伊洛窮洙泗] 이락(伊洛)과 수사(洙泗)는 모두 물 이름인데, 정명도(程明道)와 정이천(程伊川)은 이수(伊水)와 낙수(洛水) 사이에 살았고 공자(孔子)는 수수(洙水)와 사수(泗水) 부근에 살았으므로 곧 정주(程朱)를 따라 공맹(孔孟)을 연구함을 말한 것이다.
♞ 지음[知音] 자기를 알아주는 것을 말함이다. 열자(列子) 탕문(湯問)에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鍾子期)가 백아의 생각하는 대로 반드시 알았다. 그런데 종자기가 죽은 뒤에는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은 것은 지음하는 자가 없기 때문이다.” 하였다.
♞ 지음유삼익[知音有三益] 세 가지 보탬이란 정직한 친구로부터 자신의 허물을 듣고 성실한 친구로부터 참됨을 배우고 견문이 많은 친구로부터 물정을 알게 됨을 말한다.<論語 季氏> 지음(知音)은 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의 고사에서 비롯된 성어(成語)로 자기의 마음을 잘 알아주는 친구를 의미한다.<列子 湯問>
♞ 지음인[知音人] 자신을 알아주는 지기지우(知己之友)를 말한다. 옛날에 백아(伯牙)가 금(琴)을 타면서 높은 산을 생각하면서 타면 종자기(鍾子期)가 말하기를 “좋구나, 아아(峨峨)하기가 태산(泰山)과 같구나.” 하고, 흐르는 물을 생각하면서 타면 “좋구나, 양양(洋洋)하기가 강하(江河)와 같구나.” 하였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가 다시는 금을 타지 않았다고 한다. <列子 湯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