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구[秦篝] ~ 진군[眞君] ~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570  

진구[秦篝] () 나라에서 만든 배롱(焙籠)이라는 말인데, 배롱은 화로 위에 씌워 놓고 젖은 옷 등을 말리는 기구로, 보통 대나 쇠붙이로 만들었다. 옛날에 초혼(招魂)할 때, 망자(亡者)의 옷을 배롱 위에 얹어 놓아 그의 혼이 그 속에 들어가도록 유도했던 풍속이 초사(楚辭) 초혼(招魂)에 실려 있다.

진국[殄國] 시경(詩經) 대아(大雅) 첨앙(瞻仰)사람이 없어지니 나라가 시들었네[人之云亡 邦國殄瘁]”를 말한다.

진군[眞君] 도교에서 말하는 신선(神仙)들의 존칭(尊稱)이다.

진군[眞君]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로, 나의 진짜 주인이라는 뜻이다.

진군[陳君] 후한(後漢) 때의 순리(循吏)인 진림(陳臨)을 말한다.

진궁[秦宮] 후한(後漢) 때 왕실의 외척인 양기(梁冀)의 집 감노(監奴)의 이름인데, 그는 양기의 총애를 받아 벼슬이 태창령(太倉令)에 이르렀고, 위권(威權)을 크게 휘둘렀다. <後漢書 卷三十四>

진궁록위마[秦宮鹿爲馬] 진 나라의 승상(丞相) 조고(趙高)가 국정(國政)을 제맘대로 하고자 하나 군신(羣臣)들이 따르지 않을까 염려하여 자신의 위권(威權)을 보이기 위해, 이세황제(二世皇帝)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이것이 말입니다.” 하자, 이세황제가 웃으면서 승상이 잘못 안 게 아닌가? 사슴을 말이라고 하다니.” 하고, 좌우 신하들에게 물으니, 혹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고, 혹자는 이라고 말하여 조고의 뜻에 아종(阿從)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秦始皇本紀>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아방궁은 진시황(秦始皇)이 지은 큰 궁궐이다. 항우(項羽)가 진 나라를 멸한 뒤 아방궁을 불살랐다는데 두 달 동안이나 불이 꺼지지 않았다.

 

 



번호 제     목 조회
5297 진소유[秦少游] ~ 진수성찬[珍羞盛饌] ~ 진승[陳勝] 6535
5296 진류은[陳留隱] ~ 진림[陳琳] ~ 진마표륜[陣馬飆輪] 6533
5295 주산자해[鑄山煮海] ~ 주생[周生] ~ 주선왕[周宣王] 6526
5294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 장의[張儀] ~ 장이, 진여[張耳, 陳餘] 6525
5293 중선금[仲宣襟] ~ 중선루[仲宣樓] ~ 중성[中聖] 6524
5292 진초대흥[晉楚代興] ~ 진췌[秦贅] ~ 진췌한[殄瘁恨] 6513
5291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6506
5290 주독[酒禿] ~ 주랑렬거분적벽[周郞列炬焚赤壁] ~ 주량[舟梁] 6482
5289 지두화[指頭畫] ~ 지둔[支遁] ~ 지란장[支蘭藏] 6473
5288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6452
5287 중구삭금[衆口鑠金] ~ 중군[中軍] ~ 중궤[中饋] 6451
5286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643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