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단[陳摶] ~ 진대[秦臺] ~ 진락[眞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7,551  

진단[陳摶] ()나라 사람으로 자()는 도남(圖南)이다. 그는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화산(華山)에 가 살면서 도()를 닦고 벽곡(辟穀)의 술을 익혀 몇 백 날이고 계속 잠을 잤으며 송 태조(宋太祖)가 등극(登極)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이제 세상이 안정을 되찾았다고 하면서 웃었다고 한다. <宋史 卷四百五十七>

진단[震旦] 진단은 인도(印度)가 고대 중국(古代中國)을 이르던 말이다. <翻譯名義集>

진대[賑貸] 봄철 보리고개 때나 흉년에 나라의 곡식을 풀어 백성들에게 꾸어주는 일이다.

진대[秦臺] 진대경(秦臺鏡)의 준말이다. () 나라 때 광() 4(), () 59()의 네모난 거울이 있었는데, 오장 육부까지도 환하게 비췄다고 한다.

진대난봉성[秦臺鸞鳳聲] ()나라 때 왕자진(王子晋)과 소사(簫史)의 옥적(玉笛)이다.

진동[秦童] 진시황(秦始皇)이 서복(徐福)에게 동해 바다 삼신산(三神山)에 있다고 하는 불로초(不老草)를 캐 오라고 하면서 함께 보낸 수천 명의 동남동녀(童男童女)를 가리킨다.

진락[眞樂] 고려의 학자 이자현(李資玄)의 시호. 고려조 선종(宣宗) 때 대악서승(大樂署丞)을 사직하고 전국의 명산을 유람 중 춘천 청평산에 들어가 암자를 짓고 선학(禪學) 연구로 여생을 보냈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마부위침[磨斧爲針]/마부작침[磨斧作針] 11939
5344 창랑[滄浪]/창랑곡[滄浪曲]/창량[蒼凉] 9907
5343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 태산불양토양[泰山不讓土壤] 9592
5342 가고가하[可高可下] ~ 가관동[葭管動] ~ 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8725
5341 지벽도무수하혜[地僻都無樹下蹊]~ 지보족[智輔族] ~ 지사불망재구학[志士不忘在溝壑] 8273
5340 각곡[刻鵠] ~ 각곡유목[刻鵠類鶩] 8054
5339 지도인시[至道因是] ~ 지독지애[舐犢之愛] ~ 지동지서[指東指西] 7942
5338 독견[獨見] ~ 독교낙아각[毒蛟落牙角] ~ 독대[獨對] 7822
5337 행유부득반구제기[行有不得反求諸己] ~ 행장[行裝] 7807
5336 낙모[落帽] ~ 낙모풍[落帽風] ~ 낙모풍류[落帽風流] 7666
5335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7585
5334 진단[陳摶] ~ 진대[秦臺] ~ 진락[眞樂] 755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