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류은[陳留隱] ~ 진림[陳琳] ~ 진마표륜[陣馬飆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563  

진류은[陳留隱] 진류는 어느 지명(地名)인데 진류 사람 장승(張升)이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붕당 싸움을 피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진류로 돌아오다가 길에서 친구를 만나 풀을 깔고 앉아서 얘기를 나누면서 서로 부둥켜안고 울었다. 이때 한 늙은이가 그 곳을 지나다가 지팡이를 짚고 서서 한숨을 쉬며 말하기를 용이 비늘을 감추지 못하고 봉황이 날개를 감추지 못했으니 이 높이 쳐진 그물 속에서 가면 장차 어디로 갈 것인가. 비록 울어보았자 무슨 소용이 있으리요.” 하였다고 한다. 진류노부(陳留老父). <後漢書 陳留老父傳>

진리[津吏] 나루터의 선박과 교량을 주관하는 아전을 말한다.

진린[陳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우리나라에 파견되었던 명()의 수군 제독.

진림[陳琳] 동한 광릉(廣陵) 석양(射陽) 사람으로 자는 공장(孔璋)이다. 문장이 뛰어나 일찍이 원소(袁紹)를 위해 조조(曹操)의 죄상을 문책하는 격문을 지었는데, 원소가 패하여 조조에게 돌아가니 조조는 그 재주가 아까워 죄를 주지 않고 기실(記室)을 삼았다 한다. <三國志 卷二十一 陳琳傳>

진림[陳臨] 후한(後漢) 때의 순리(循吏). 진림이 창오태수(蒼梧太守)로 있으면서 정성을 다해 효제(孝悌)로써 백성을 잘 다스렸고, 심지어는 살인한 사람이 자식이 없음을 알고는 그의 아내를 감옥으로 불러들여 남편과 동침을 하게 해서 끝내 자식을 얻게까지 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떠난 뒤, 그 고을 사람들이 사당을 세워 55일이면 동성문(東城門) 위에서 그를 제사지냈다고 한다.

진마표륜[陣馬飆輪] 진마는 풍장진마(風牆陣馬)의 준말이고 표륜은 표거(飆車)인데 문장의 기세가 웅후(雄厚)함을 비유한 것임. 두목의 이하시 서(李賀詩序)風飆陣厚不足爲其勇也라 하였다.

진망[塵網] 진망은 세속의 그물로, 주로 벼슬살이를 가리킨다.

진망[蓁莽] 초목이 무성하다.

 

 



번호 제     목 조회
65 자공[子貢] ~ 자공서[子公書] ~ 자과[炙輠] 6431
64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6436
63 진근[塵根] ~ 진길료[秦吉了] ~ 진루[秦樓] 6439
62 진양사[秦良死] ~ 진여[眞如] ~ 진영탁[塵纓濯] 6439
61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6445
60 지구우[止邱隅] ~ 지균[指囷] ~ 지기[支祈] 6445
59 중구삭금[衆口鑠金] ~ 중군[中軍] ~ 중궤[中饋] 6457
58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6457
57 지두화[指頭畫] ~ 지둔[支遁] ~ 지란장[支蘭藏] 6484
56 주독[酒禿] ~ 주랑렬거분적벽[周郞列炬焚赤壁] ~ 주량[舟梁] 6509
55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6520
54 진초대흥[晉楚代興] ~ 진췌[秦贅] ~ 진췌한[殄瘁恨] 6523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