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시화중귀[秦時火中歸] 진시황(秦始皇)은 천하를 통일한 뒤에 이사(李斯)의 우민(愚民) 정책을 따라, 천하의 시서(詩書)와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찾아내어 함양(咸陽)에 모아 놓고는 모두 불태워 버렸다. <史記 卷六 秦始皇本紀, 卷八十七 李斯列傳>
♞ 진식위[陳寔位] 동한(東漢)의 진식이 성덕군자(盛德君子)로서 벼슬이 태구장(太丘長)에 머물렀으므로, 태위(太尉) 양사(楊賜)와 사도(司徒) 진탐(陳耽) 등이 공경(公卿) 지위에 오르고는 늘 탄식하기를 “그분이 큰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는데 우리가 먼저 차지하다니 부끄럽다.[寔大位未登 愧于先之]”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後漢書 陳寔傳>
♞ 진신아[縉紳衙] 온 조정을 통틀어 진신아라고 말하고, 이것을 거느렸다고 함은 수상이 되었다는 말이다.
♞ 진신월[眞身月] 하늘에 있는 달[月]은 진신(眞身)이요, 여러 군데 물 속에 비치는 달 그림자는 달의 분신(分身) 또는 환신(幻身)·화신(化身)이 된다.
♞ 진신처사[搢紳處士] 높은 벼슬아치를 말한다.
♞ 진안[眞贋] 진짜와 가짜.
♞ 진암[晋菴] 영조(英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이천보(李天輔)의 호이다.
♞ 진양[晉陽] 전국 때 제나라 령의 고을로 지금의 산동성 운성현(鄆城縣) 서 10키로 되는 곳에 있었다.
♞ 진양[辰陽] 지금의 호남성(湖南省) 진주(辰州) 부근의 지명.
♞ 진양[晉陽] 진양은 진주(晉州)의 옛 이름이다.
♞ 진양공[晉羊公] 진(晉) 나라 양호(羊祜)가 형주(荊州)의 자사로 있을 때, 가벼운 갖옷 느슨한 띠[輕裘緩帶]로 현산(峴山)에서 놀았다.
♞ 진양공[晉陽公] 최충헌(崔忠獻)의 아들 우(瑀), 고친 이름은 이(怡). 강화 천도 뒤 고종(高宗) 21년 진양후(晉陽後)에 봉하였다.
♞ 진양공자[晉陽公子] 당 태종 이세민(李世民). 진양은 고을 이름. 현 산서성 태원현(太原縣) 치(治). 옛날의 당국(唐國) 뒤에 진(晉)으로 고침. 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이 진 양공(晉陽公)이므로 그 아들 태종이 진양공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