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인척[秦人瘠] ~ 진일주[眞一酒] ~ 진재[眞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887  

진인척[秦人瘠] () 나라는 진() 나라와 워낙 거리가 멀기 때문에 월 나라 사람이 진 나라 사람의 살찌고 파리함을 하등 생각하지 않는다는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서로 소원하여 전혀 상관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진일[眞逸] 도홍경(陶弘景)은 남북조(南北朝) 시대 말릉(秣陵) 사람으로 자는 통명(通明)인데 구용현(句容縣) 구곡산(句曲山)에 은거하여 스스로 화양은거(華陽隱居)라 호하였다가 뒤에 화양진일이라 호하였다.

진일주[眞一酒] 진일주(眞一酒)는 술 이름. ()의 소식(蘇軾)이 만든 술. <酒史>

진자앙[陳子昂] 초당(初唐)의 시인. 자는 백옥(伯玉). 형식에 치우친 제·(齊梁)의 귀족적 시풍(詩風)을 일소하고, ·(漢魏)의 고아(高雅)한 시풍으로 복고할 것을 주창, 성당(盛唐) 시인의 선구가 됨. 저서에는 진습유집(陳拾遺集)이 있다.

진재[眞宰] 우주 만물의 주재자(主宰者)로서 우리를 웃고 울게 만드는 참 주인을 말한다. 하늘은 만물의 주재(主宰)이기 때문에 진재라고 한 것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필시 진재가 있을 터인데 다만 그 단서를 얻지 못하였을 뿐이다.” 하였다.

진쟁[秦箏] () 나라 사람들이 타던 쟁을 말하는데, 이 가락은 매우 강개(慷慨)하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069 정와[井蛙] ~ 정운시[停雲詩] 5877
5068 적공빈부[翟公貧富] ~ 적궤[弔詭] 5876
5067 검구매[劍久埋] ~ 검남백발[劒南白髮] 5875
5066 내열[內熱] ~ 내외거[內外擧] ~ 내외전[內外典] 5873
5065 순릉[順陵] ~ 순문약[荀文若] 5871
5064 거경[巨卿] ~ 거공휼[駏蛩卹] 5870
5063 곤붕[鯤鵬] ~ 곤붕하해안예소[鯤鵬何害鷃鯢笑] 5870
5062 상자[相者] ~ 상장[相將] 5865
5061 취모[醉帽] ~ 취모멱자[吹毛覓疵] 5865
5060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5863
5059 자형[子荊] ~ 자형화[紫荊花] 5862
5058 공손[公孫] ~ 공손홍[公孫弘] 586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