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사[徵士] 학문과 덕행으로 조정의 부름을 받고 벼슬했던 사람을 말한다. 참고로 도연명(陶淵明)의 사시(私諡)가 정절징사(靖節徵士)이다.
♞ 징사[徵士] 학행(學行)이 높아서 임금이 불러도 나아가지 않는 선비이다.
♞ 징서[徵書] 군졸을 징발하고 군량을 조달하라는 명령서(命令書)를 말한다.
♞ 징심지관[澄心止觀] 지(止)는 생각을 없애는 것이요, 관(觀)은 지혜로 본체(本體)를 관조(觀照)한다는 뜻이다.
♞ 징재[徵在] 공자(孔子)의 어머니 안씨(顔氏)의 이름이다.
♞ 징조[徵調] 명을 내려 군대와 군량을 징발하는 것을 말한다.
♞ 징청[澄淸] 천하를 깨끗이 맑히려는 뜻을 이른다. 후한 때 기주(冀州)에 기근이 들어 도적이 떼지어 일어났을 적에 범방(范滂)을 청조사(淸詔使)로 삼아 그 곳을 안찰(案察)하게 하니, 범방이 수레에 올라 말고삐를 잡고는 개연히 천하를 깨끗이 맑히려는 뜻이 있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七>
♞ 징청증안비[澄淸曾按轡] 난세(亂世)에 정치를 혁신하여 천하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뜻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당고열전(黨錮列傳) 범방(范滂)에 “이때 기주(冀州)에 기근이 들어서 도적떼가 일어났는데, 범방이 청조사(淸詔使)가 되어 안찰하게 되었다. 범방은 수레에 올라타 말고삐를 고쳐 잡고는 개연히 천하를 맑게 할 뜻을 품었다.” 하였다.
♞ 징청지[澄淸志] 후한(後漢) 범방(范滂)이 환제(桓帝) 때 기주(冀州)를 안찰(按察)하러 갈 때에 천하를 맑힐 뜻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