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24  

채근백사[菜根百事] () 나라 때 왕혁(汪革)이 일찍이 말하기를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먹고살면 온갖 일을 이룰 수 있다.” 하였는데 주자(朱子)가 이에 대하여 논하기를 내가 보건대 지금 사람들은 나물 뿌리를 먹고사는 것을 견디지 못함으로 인하여 자기 본심(本心)을 위배하는 지경에 이른 자가 많으니, 경계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小學 善行>

채남[采藍] 시경(詩經) 소아(小雅) 채록(采綠)에 의하면, 행역(行役) 나간 남편을 그리워하여 부른 노래로 아침 내내 쪽풀을 캤지만, 행주치마도 다 안 차네. 닷새만 되면 온다더니, 엿새가 되어도 오지를 않네.[終朝采藍 不盈一襜 五日爲期 六日不詹]” 한 데서 온 말이다.

채녀가[蔡女笳] 채녀는 후한(後漢) 채옹(蔡邕)의 딸인 채염(蔡琰)을 가리킨다. 흉노(匈奴)의 포로가 되어 호중(胡中)에서 12년 동안 살다가 조조(曹操)의 구원을 받고 중국에 돌아온 뒤 비분강개의 심정을 읊으며 호가십팔박(胡笳十八拍)을 지었다 한다. <樂府詩集 琴曲歌辭 胡笳十八拍>

채단[彩團] 재인(才人)의 집단을 가리키는 말.

채도주[蔡道州] 채도주는 송() 나라 때 위학(僞學)으로 몰리어 도주에 유배된 채원정(蔡元定)을 이르는데, 그가 도주에 가서 편지를 보내 제자(諸子)들에게 훈계하기를 혼자 다닐 때는 그림자에게 부끄럽지 않아야 하고, 홀로 잠잘 적에는 이불에 부끄럽지 않아야 한다. 내가 죄를 얻었다 하여 사도(斯道)에 게을리하지 말라.”고 하였다. <宋史 卷四百三十四>

채두[釵頭] 비녀처럼 생긴 불똥지우개.

 

 



번호 제     목 조회
4865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115
4864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115
4863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116
4862 내무증[萊蕪甑] ~ 내복[萊服] ~ 내빈삼천[騋牝三千] 2117
4861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119
4860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20
4859 천은망극[天恩罔極] ~ 천응증아달[天應憎我達] ~ 천의무봉[天衣無縫] 2120
4858 파과지년[破瓜之年]~파교풍설[灞橋風雪]~파교행음[灞橋行吟] 2120
4857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23
4856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125
4855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125
4854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125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