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55  

청삼[靑衫] () 나라 때 품계(品階)가 낮은 하급 문관이 입던 관복으로,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좌천된 백거이(白居易)의 고사에 연유하여, 실의에 빠진 관리를 표현할 때 보통 청삼사마(靑衫司馬)’라고 한다. 백거이(白居易)비파인(琵琶引)’에 나오는 座中泣下誰最多 江州司馬靑衫濕이라는 시구는 특히 유명하다.

청삼[靑衫] 청삼은 보통 서생(書生)을 뜻하는데, 청색 옷을 입었던 문관 8품과 9품의 관직을 가리키기도 한다.

청상[淸賞] 경치 좋은 산수(山水)를 유람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청상[靑裳] 망우초(忘憂草) 즉 원추리의 별칭이다.

청상[靑箱] 집안에 대대로 전해지는 학문을 이른다. 유송(劉宋) 때 왕준지(王准之)의 집은 대대로 강좌(江左)의 옛 일을 잘 알아서 이를 기록하여 푸른 상자[靑箱]에 넣어 두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이를 일러 왕씨(王氏)의 청상학(靑葙學)’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書 卷六十>

청상[淸商] 청상곡.

청상곡[淸商曲] 가을에 속하는 상성(商聲)의 맑고도 슬픈 노래를 말한다.

청상악[淸商樂] 고대 한족(漢族)의 민간 음악이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畫角三聲刁斗曉 淸商一部管絃秋 他時麟閣圖勳業 更合何人居上頭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7, 河陽石尙書 破迴鶻 迎貴主 過上黨 射鷺繪畫爲圖 猥蒙見示 稱歎不足 以詩美之>

청상전가[靑箱傳家] 송서(宋書) 왕준지전(王准之傳), 증조 표지(彪之) 때부터 박학한 지식과 사실(史實) 등을 푸른 궤[靑箱]에 넣어 대대로 전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왕씨 청상학(王氏靑箱學)’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청상조[淸商調] 청상은 청량(淸涼)한 가을바람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01 화극[畫戟]~화금[火金]~화누역경[火耨力耕] 1972
400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1971
399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1969
398 천생연분[天生緣分] ~ 천섬[薦剡] ~ 천세학귀삼교월[千歲鶴歸三嶠月] 1966
397 함향기초[含香起草]~함향봉군[含香奉君]~함휼[銜恤]~함흥차사[咸興差使] 1966
396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1961
395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1960
394 토각귀모[兎角龜毛]~토간[免肝]~토구[菟裘]~토규연맥[兎葵燕麥] 1960
393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1959
3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1959
391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1956
390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195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