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아[菁莪] 무성한 쑥. 인재(人材)의 교육을 뜻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청청자아(菁菁者莪)의 편명을 줄인 말이다. 청청자아 서(序)에 “청청자아는 인재 기르는 것을 찬미한 노래다.”라고 하였다.
♞ 청아[靑娥] 아리따운 소녀, 즉 관기(官妓)를 가리킨다.
♞ 청아낙수[靑蛾落水] 청아는 눈썹먹으로 그린 푸른 눈썹으로 미인을 뜻한다. 나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망할 때 백제의 많은 궁녀들이 부소산(扶蘇山) 서쪽 끝의 절벽에서 백마강에 몸을 던져 빠져 죽은 일을 말한다.
♞ 청아시[菁莪詩] 시경(詩經) 소아(小雅)에 청청자아편(菁菁者莪篇)이 있는데, 그 서(序)에 “인재를 육성함을 즐겁게 여기는 시다.” 하였다.
♞ 청안[靑眼] 반갑게 맞는다는 뜻.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 “완적(阮籍)이 상주가 되었을 때 혜희(嵇喜)가 예절을 갖추어 조문하니 완적이 흘기는 눈[白眼]으로 대하고 혜강(嵇康)이 술과 거문고를 갖고 찾아오니 완적이 기뻐하여 반가운 눈[靑眼]으로 맞이했다.” 하였다.
♞ 청안[靑眼] 청·백안(靑白眼)을 이름인데, 무릇 안청(眼靑)이란 빛이 푸르고 그 곁의 빛은 희므로 기쁠 때에 바로 푸른빛이 나타나고, 성이 날 때에 흘겨보게 되면 흰빛이 나타나는 것이다. 완적은 예교(禮敎)에 구속되지 않고 청·백안을 잘하여, 예속(禮俗)의 선비를 보면 백안으로 대하고, 혜강이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찾아오면 기뻐하여 청안으로 대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세상이 사람을 중시하는 것은 청안이라 이르고 사람을 경시하는 것을 백안이라 이른다.